글 정유라/ <말의 트렌드> 저자, 빅데이터 연구원
가장 빠르게 공감을 얻는 법
숏폼 콘텐츠가 대세다. 대세에 법칙이 있길 기대하는 심리를 반영해서일까. 흥한 숏폼 콘텐츠에도 공통점이 존재한다. <단시간에 몰입을 유도해 스킵을 피하고 공감을 바탕으로 임팩트를 남겨라>. 이 짧은 문장에도 몰입과 공감이 어려운데, 어떻게 '숏'폼에 녹여낼 수 있을까? 콘텐츠의 길이는 짧아졌는데 요구 사항과 검열은 늘어났다. 자극적이되 시대 감수성을 따를 것, 트렌디한 영상미를 보여주되 차별적 질감의 감성을 표현할 것. 외워야 할 공식도 문법도 모호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장 확실한 것'은 무엇일까? 그건 비주얼의 감도도 콘텐츠의 오프닝도 아닌 '언어'다. 콘텐츠의 제목부터 재료까지 사용하는 모든 언어가 중요하다.
비주얼과 영상의 시대, 그중에서도 자극과 강렬함을 추구하는 숏폼의 시대에 언어의 중요성을 외치는 것은 역행이 아닌 역설의 강조다. 서사가 아닌 자극으로 소통하는 속도의 시대일수록 언어의 역할이 크다. 가장 빠르게 공감을 얻는 방법은 소통하려는 대상과 같은 언어를 쓰는 것이기 때문이다. <t와 f가 심하게 갈린다는 이 질문>이라는 숏폼의 썸네일엔 유명인도 자극적 장면도 없다. 이 콘텐츠의 핵심은 화려한 비주얼이 아닌 t와 f라는 단어의 함의다. t/f라는 용어에 민감하게 반응하는(mbti 성향으로 사고형 T, 감정형 F를 뜻함) 세대를 저격하는 언어 사용은 유효한 전략이다.
가장 빠르게 공감을 얻는 법
숏폼 콘텐츠가 대세다. 대세에 법칙이 있길 기대하는 심리를 반영해서일까. 흥한 숏폼 콘텐츠에도 공통점이 존재한다. <단시간에 몰입을 유도해 스킵을 피하고 공감을 바탕으로 임팩트를 남겨라>. 이 짧은 문장에도 몰입과 공감이 어려운데, 어떻게 '숏'폼에 녹여낼 수 있을까? 콘텐츠의 길이는 짧아졌는데 요구 사항과 검열은 늘어났다. 자극적이되 시대 감수성을 따를 것, 트렌디한 영상미를 보여주되 차별적 질감의 감성을 표현할 것. 외워야 할 공식도 문법도 모호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장 확실한 것'은 무엇일까? 그건 비주얼의 감도도 콘텐츠의 오프닝도 아닌 '언어'다. 콘텐츠의 제목부터 재료까지 사용하는 모든 언어가 중요하다.
비주얼과 영상의 시대, 그중에서도 자극과 강렬함을 추구하는 숏폼의 시대에 언어의 중요성을 외치는 것은 역행이 아닌 역설의 강조다. 서사가 아닌 자극으로 소통하는 속도의 시대일수록 언어의 역할이 크다. 가장 빠르게 공감을 얻는 방법은 소통하려는 대상과 같은 언어를 쓰는 것이기 때문이다. <t와 f가 심하게 갈린다는 이 질문>이라는 숏폼의 썸네일엔 유명인도 자극적 장면도 없다. 이 콘텐츠의 핵심은 화려한 비주얼이 아닌 t와 f라는 단어의 함의다. t/f라는 용어에 민감하게 반응하는(mbti 성향으로 사고형 T, 감정형 F를 뜻함) 세대를 저격하는 언어 사용은 유효한 전략이다.
출처 @tiktok_kr
숏폼이 아닌 다른 폼의 전성기가 찾아와도 동시대의 공감을 기반한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늘 언어다. 흥행 법칙은 모르지만 빠르게 업데이트되는 언어의 트렌드를 읽고 사용하기 위한 방법은 있다. 새롭게 생겨나는 언어들의 문법을 이해하고 시대 정서와 동기화된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줄임말과 접사의 공식
모국어 시험은 수능 언어영역 채점을 마지막으로 모두 끝나길 바랐다. 단어를 외우는 건 외국어 공부를 할 때만 하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수능도 끝났고 새로운 언어를 배우려는 것도 아닌데, 모르는 단어가 자꾸 생겨난다. 세대론이 뜨거운 시대답게 세대 검증을 핑계로 나의 모국어 능력을 시험하는데, 그 단어들이 종종 낯설다. 다행히 '어원을 알면 단어가 저절로 외워집니다'라는 영단어 책의 카피처럼 유행하는 신조어의 패턴을 익히면 새로운 단어의 의미를 쉽게 유추할 수 있고 훈련을 통해 한 단어에서 동시대의 흐름을 읽을 수도 있다.
신조어의 가장 대표적인 문법은 줄임말과 접사다. 줄임말은 다소 억울한 누명과 사투 중이다. 별 걸 다 줄인다고, 국어를 파괴한다고, 소통을 저해한다지만 사실 모든 말을 다 줄이는 것도 아니고 모든 줄임말이 다 유행하지도 않는다. 비빔냉면은 '비냉'이 되지만 크림파스타는 '크파'가 되지 않았다. 일주일에 한 번은 크림파스타를 먹어야 하는 집단에서는 '크파'와 '토파(토마토파스타)' '오파(오일파스타)'가 친숙한 줄임말로 통용될 가능성이 있겠지만 그것이 온라인상에서 모두의 공감을 얻진 못한다. 된찌와 크파 사이를 가르는 것은 '일상성'이다.
유행하는 줄임말은 그 말을 사용하는 집단과 세대의 일상성이 반영한다. 별 걸 다 줄이는 게 아니라 그들이 줄여 쓰는 말에는 그걸 사용하는 사람들의 일상과 애정이 반영돼 있다. 스타벅스는 스벅이 되고, 올리브영은 올영이 되고, 배스킨라빈스가 배라가 되는 것처럼 특정 집단에게 익숙하고 친숙한 것들은 자연스럽게 줄임말로 된 애칭을 얻는다. 내게 중요하고 친숙한 것들을 줄여 부르고 싶은 마음과 습관은 시대와 세대를 넘나들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