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렬 조건 >
발행처 :
등록기준 :
정렬 :
-
-
[Digital In.sight] SNS 편_ 나다움이 가장 잘 팔리는 시대의 콘텐츠는?
-
2025.01.16 09:48
| 대홍기획
-
글 디지털솔루션3팀 장한솔 CⓔM
* [Digital In.sight]에서는 매달 디지털 전반의 이슈와 트렌드를 전합니다. AI와 SNS 소식을 격월로 전해드릴 예정이며 이번 달에는 SNS 소식을 소개합니다.
우리는 나다움이 가장 잘 팔리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상품, 브랜드, 직업 등을 선택할 때뿐만 아니라 삶의 방식을 고를 때에도 자신의 성향과 선호를 반영하며 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
-
-
Z세대의 대체 소비 트렌드, 듀프 컬처
-
2025.01.16 09:32
| 대홍기획
-
-
-
테클라_ 고요하고 아름다운
-
2025.01.16 09:21
| 대홍기획
-
글 박한나 / 에피파니 프로젝트 대표. 19년 차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로 삼성전자 글로벌 마케팅팀, 비마이프렌즈 CMO 등으로 활약했다.
거리를 가득 채운 집회에서 촛불 대신 등장한 건 형형색색의 응원봉이었다. 각기 다른 팬덤을 상징하는 응원봉들이 모여 하나의 목소리를 냈다. 이들은 서로의 ‘최애’가 다르지만 공동의 신념 아래 하나가 됐다. 응원봉은 이제 단순한 팬심의 표현을 넘어 새
-
-
독서는 핫해! 텍스트힙 트렌드
-
2024.12.05 09:13
| CHEIL WORLDWIDE
-
한다혜 연구위원(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
“Reading is so sexy!(독서는 정말 섹시해!)”
올해 초, 미국의 Z세대를 대표하는 인기 모델 카이아 거버(Kaia Gerber)가 인터뷰에서 자신이 만든 독서 클럽을 소개하며 했던 말이 화제다. 틱톡, 쇼츠, 릴스 등 각종 숏폼 콘텐츠에 지배당했던 요즘 사람들이 갑자기 책을 본다니! 지난해부터 시작된 독서 바람이 올해까지 이어지며 꾸준한 인기를 보이고 있
-
-
MZ들이 모인 곳에 70년 역사를 풀어내다 ? 신영와코루 70주년 캠페인
-
2024.11.15 05:31
| HS Ad
-
“신영와코루 70주년입니다. 축하해 주세요!”
신영와코루 칠순 기념, 성수와 강남에서 각각 서로 다른 잔치를 열었다. 그리고 놀랍게도, 두 곳 모두 젊은이들의 환호를 받고 있다.
‘내 브랜드는 아니었지만, 이 정도 진심이라면…’ – 무비랜드 <사랑의 형태들>
축하는 억지로 시킬 수 없고, 당사자의 마음에서
-
-
젠지 뷰티
-
2024.10.15 04:51
| 대홍기획
-
-
-
[Digital In.sight] 정체성을 네트워킹하는 새로운 SNS 시대
-
2024.09.19 05:25
| 대홍기획
-
글 디지털인사이트3팀 이유빈 CⓔM
* [Digital In.sight]에서는 매달 디지털 전반의 이슈와 트렌드를 전합니다. AI와 SNS 소식을 격월로 전해드릴 예정이며 이번 달에는 SNS 소식으로 시작합니다.
여러분은 요즘 SNS를 어떻게 사용하시나요? 저는 눈을 뜨자마자 밤 사이 쌓인 카카오톡 메시지를 읽고, 새로 업로드된 유튜브 숏츠를 확인하며 출근합니다. 좋은 음악을 발견하면 바로 인스타그
-
-
소비가 싫어서, YONO
-
2024.09.19 04:25
| 대홍기획
-
-
-
MZ세대의 가치소비는 어디로?
-
2024.09.19 03:48
| 대홍기획
-
글 정지원 / 제이앤브랜드 대표. 아이덴티티 기획, 브랜딩,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두루 경험한 후 다방면에서 마케팅 솔루션을 풀어낸다. 저서 <뉴그레이> <맥락을 팔아라> <어바웃 브랜딩> 외 다수.
‘우아한 가난의 세대’ 부모보다 가난한 첫 세대로 불리는 MZ에 대한 표현 중 하나다. 이는 집을 사는 것은 미루지만 호캉스는 포기할 수 없는 세
-
-
소비자들은 왜 셀프 분석에 빠졌을까?
-
2024.09.19 03:30
| 제일기획
-
송수진 고려대 글로벌비즈니스대 교수, 소비행동학자
소비자들은 왜 셀프 분석에 빠졌을까? 몇 해 전 시작돼 지금쯤 사라지겠거니 싶었던 MBTI는 이제 대학에서 기숙사 룸메이트 구할 때도 쓰고, 팀 프로젝트 멤버 구성할 때도 쓴다. 학생들은 심지어 강의계획서에 교수님의 MBTI가 적혀 있으면 좋겠다고 이야기한다. 그것으로 교수님이 선호하는 평가 방식, 교육 철학,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을 파악할 수 있다는 기대에서다. 학자들이 MBTI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