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종건과 한국 사회교육 역사
커뮤니케이션북스(주) 기사입력 2013.04.29 01:13 조회 3348

한국 사회교육의 ‘이론’과 ‘실천’ 영역에서 일인자로 평가되는 ‘황종건’의 생애를 통해 한국 사회교육 60년 역사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학설사’ 연구를 채택했다. 교육학자의 생애사 탐구, 학문 의식이나 학설의 직접적 발표 형식인 논문과 저서 등 연구 업적에 관한 역사학적 접근을 취했다. 여기에 생애사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황종건의 삶의 전환에 착안해 수학기, 연구기, 해외 실천기, 전망기의 네 시기로 구분하고, 시기별로 사회교육의 시대적 배경과 실제, 그리고 황종건의 사회교육 이론과 실천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이를 통해 황종건이 사회교육과 관련한 사실과 실천을 어떻게 바라보며, 또한 이론을 어떻게 형성해 왔는지를 밝혔다.



저자 소개

히고 코우세이(肥後耕生)
1977년 일본 가고시마(鹿?島)에서 태어났다. 가고시마대학 교육학부 지역사회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학부 3학년 때 전북대학교 교육학과에서 교환학생으로 수학한 것을 계기로, 한국 사회교육 및 평생교육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석사학위 취득 후, 중앙대학교 교육학과 박사과정에 진학하여, “황종건의 사회교육 이론과 실천 연구”(2008)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공주대학교 한국농촌교육연구센터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며, 농어촌 전원학교 육성 사업, 초?중?고 통합운영학교 육성 사업 등 농어촌 교육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공주대학교 안보과학대학원 평생교육학전공 강의를 맡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사회교육사(史), 학교·가정·지역사회의 연계 협력, 농촌교육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 “解放後韓 社 育の成立過程に する一考察 宗建の社 育 究”, “第2次平生?習振興 合計 の樹立背景と計 の特 ”, “韓?における農村 育の動向-二つの 育福祉事業を中心に-” 등이 있다.

지은 책으로는 社會敎育?生涯學習辭典(朝倉書店, 2012, 공저), 韓國の社會敎育 生涯學習-市民社會の創造に向けて(エイデル硏究所, 2006, 공저), 옮긴 책으로는 일본의 사회교육 평생학습-풀뿌리 주민 자치와 문화 창조를 향하여(학지사, 2010, 공역)가 있다.

구성 및 내용

한국 평생교육 뿌리 찾기

오늘날의 평생교육은 그냥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한국 사회교육 및 평생교육은 해방 후 미군정, 6·25전쟁, 북한과 군사적 대립, 군사정권, 민주화 등의 역사적 배경 속에서 수많은 부침을 겪으며 성장해 왔다. 이를 위해 ‘노력과 열정’을 바친 수많은 이론가와 실천가가 있었고, 이론적 배경이 되는 ‘학설’이 있었기에 가능하다.

황종건은 해방 후 한국 사회교육 제도 성립과 실태, 학설 형성 과정, 관련 조직 설립과 활동, 국제기구와 교류 등 ‘연구’와 ‘실천’의 제일선에서 활약했던 한국 사회교육 1세대로, 그의 생애가 곧 ‘한국 사회교육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즉, 이 책은 한국 사회교육 60년 역사를 한 인물의 ‘이론’과 ‘실천’의 역사를 통해 돌이켜볼 수 있게 한다.

‘황종건’의 생애를 ‘학설사’와 ‘생애사’ 연구방법에 따라, 황종건의 사회교육학설의 형성 과정을 분석했다. ‘학설사’ 분석틀은 특히 주목할 만하다. 이론과 실천이라는 각기 다른 영역이 한 인물의 삶 속에서 상호작용한 관계를 분석하는 틀을 제시한 것이다. 생애사 연구방법을 활용하면서 황종건의 삶의 전환에 착안해 수학기, 연구기, 해외 실천기, 전망기의 네 시기로 구분하고, 시기별로 한국 사회교육의 시대적 배경과 실제, 그리고 황종건의 사회교육 이론과 실천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이는 황종건의 사회교육 이론 구조를 해명하고, 그가 한국 사회교육학과 오늘날 평생교육학에 끼친 영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발판이 된다.
따라서 이 책은 오늘날 한국 평생교육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평가해 향후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황종건’이라는 사회교육학자이자 실천가가 살아온 모습, 이론이나 이념, 그리고 실천 등이 오늘날 평생교육 현장에서 활약하는 평생교육사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은 필자의 박사학위 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으로, 구성은 다음과 같다.
1부는 ‘황종건’에 대한 연구가 왜 한국 사회교육의 역사를 밝히는 데 중요한지를 살펴본다. 그런 다음, ‘황종건’의 학설사 및 생애사 연구의 특징에 대해 정리한다. 이 두 가지 연구방법에 입각해 황종건의 사회교육학설사 및 생애사 분석의 관점을 제시한다.

2부는 황종건의 생애를 살펴본다. 그의 학문의식이나 삶의 전환기에 초점을 맞춰 수학기, 연구기, 해외 실천기, 그리고 전망기라는 네 가지 시기로 구분해 그가 걸어온 길을 되돌아본다.

3부부터 6부까지는 2부에서 설정한 네 가지 시기에 따라 황종건의 사회교육학설의 형성 과정에 대한 분석을 전개한다. 각 시기의 시대적 배경과 사회교육의 실제를 되돌아보고, 황종건의 사회교육 이론 형성 과정과 사회교육 실천의 모습을 보여준다.

7부는 황종건의 생애와 사회교육학설의 구조에 대해 살펴본 결과를 제시한다. 특히, 그의 연구자이자 실천가로서의 인생과 그가 학문 형성에 끼친 영향, 그리고 한국 사회교육의 연구와 실천에 끼친 영향에 대해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 결과에 기초해 사회교육과 평생교육 연구의 향후 과제와 제언을 정리한다.
부록에는 수많은 실증적 자료를 바탕으로 황종건의 생애, 업적, 연보를 비롯해 사회교육 역사에 관한 선행연구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뒀다. 이후 관련 연구에 사료적 기반을 제공한다.


책 속으로


필자가 한국 사회교육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1997년 12월, 학부 1학년 때 가고시마(鹿島)대학교 교육학부와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간의 교류로 처음 한국을 방문했을 때였다. 그때 한국도 일본과 같은 ‘사회교육’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한국의 사회교육은 어떻게 전개되어왔을까 하는 의문을 갖게 되었다. […] 다음 해 5월, 가고시마대학교에서 개최한 ‘동아시아 생애교육 국제세미나’ 때 황종건 교수님과 재회해 고바야시 분진(小林文人) 교수님과 함께 오키나와(沖)를 방문하는 데 동행하는 기회도 얻게 되었다.
이러한 인연 속에서 한국어와 한국 사회교육에 관심을 가지게 된 필자는 학부 3학년 때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에 교환학생으로 유학한 경험을 계기로 한국 사회교육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처음에는 문해교육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 그러나 고바야시 헤이죠 교수님의 세심한 지도 아래 해방 후 한국 사회교육의 성립 과정을 밝히는 하나의 방법론으로 ‘학설사’ 연구에 착안하게 되면서, 황종건 연구를 수행하기로 결심했다.
-‘책을 내며’ 중(v~vi)
 

학설사와 생애사 연구방법을 이해하는 것은 우선적으로 이 책을 이해하는 바탕이면서 넓게는 개인의 학문적, 생애적 연구가 한 사회의 역사 연구와 어떻게 연결되는가를 이해하는 조건이라 할 수 있다. 기존 역사 연구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연구방법을 이해함으로써 향후 역사 연구가 더 다양한 방법으로 이뤄지길 도모하는 방안이기도 하다.
-13쪽
 

당시 황종건은 ‘교육자와 직업의식’에 대해 다음과 같이 생각했다.
“교육이란 개인의 생활을 발전시킴과 동시에 사회생명을 영속시키기 위한 하나의 사회적 기능이다. … 먹고 사는 것 자체가 교육하는 일의 목적이어서는 안 된다. 교육자는 드높은 이상과 사명 아래 자기 몸과 마음을 저버릴 수 있는 각오와 힘을 가져야 한다. ‘썩어가는 사회를 건지는 길이 과연 무엇이냐? 조국의 재건은 무엇으로써 가능한가?’라는 커다란 문제를 걸머지고 나가는 것이 교육자의 모습인 것이다. … 교실 밖의 넓은 하늘을 호흡하며 살아가는 ‘넓은 인간’이 되어야 한다. 그럼으로써 진정한 교육의 빛을 낼 수 있으며, 생명 있는 인간과 올바른 사회의 발전이 있을 수 있다.(≪동아일보≫, 1955. 9.16, 조간 4면)
-41쪽


목차


책을 내며
 

1부 왜 ‘황종건’인가?
01 ‘황종건’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
02 황종건의 학설사 및 생애사 분석 틀
 

2부 황종건의 생애
03 제 1기 : 수학기(1929∼1960)
04 제 2기 : 연구기(1961∼1985)
05 제 3기 : 해외 실천기(1986∼1994)
06 제 4기 : 전망기(1995∼2006)
 

3부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교육 비판
07 사회교육의 시대적 배경과 실제 : 해방 직후∼1960
08 미국 교육 도입과 한국 사회 비판
 

4부 사회교육 이론의 형성과 실천
09 사회교육의 시대적 배경과 실제 : 1961∼1985
10 사회교육 이론의 형성
11 평생교육론의 전개
12 사회교육 추진 및 연구 조직의 설립과 실천
 

5부 문해교육의 중요성 재인식과 실천
13 사회교육의 시대적 배경과 실제 : 1986∼1994
14 사회교육의 방향 모색과 문해교육의 중요성 인식
15 한국문해교육협회의 설립과 실천 257
 

6부 사회교육 회고와 전망
16 사회교육의 시대적 배경과 실제 : 1995∼2006
17 평생학습 발전을 위한 새로운 방향 모색
 

7부 결론
18 연구 성과 및 제언

 

황종건과 한국 사회교육 역사 ·  히고 코우세이 ·  한국 평생 교육 뿌리 찾기 ·  평생교육 ·  사회교육 · 
이 기사에 대한 의견 ( 총 0개 )
2023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4년 전망
2023년 연초 광고 시장에 드리웠던 불안한 예감은 현실이 됐다. 지난 2021년 20.4%라는 큰 성장 이후 2022년 5.4% 재 성장하며 숨 고르기로 다시 한번 도약을 준비하던 광고 시장이었다. 하지만 발표된 다수의 전망들은 2023년 광고 시장의 축소를 내다보고 있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에 따르면 2023년 광고비는 전년 대비 3.1%p 하락으로 전망됐고, 이중 방송 광고비는 17.7% 감소가 예상됐다.
[월간 2024밈] 4월 편 - 잼얘해봐?
  오늘 점심 떵개했다?  HSAD 광고 사건  펠꾸 모음  카카오톡 미니 이모티콘  잼얘 해봐.   오늘 점심 떵개했다 음식을 맛있게 먹기로 유명한 유튜브 먹방 유튜버 떵개떵. 출처: 유튜브 떵개떵  음식을 맛있게 먹는 떵개떵의 이름에서 따와, 맛있는 음식을 먹으면 '떵개했다'라는 말을 사용해요! '오늘 점심
우리의 일상을 금연 동기 가득한 일상으로, “이렇게 참은 김에, 이참에, 금연 어떠세요?”
“금연에 관심이 있는 흡연자들이 금연을 실천할 수 있도록 행동 메시지를 개발해 주세요.”
우리가 사랑한 다이닝, 아웃백 ㅣ 脫 패밀리레스토랑을 위한 2024년 아웃백 리브랜딩 캠페인
“패밀리레스토랑 1등을 넘어 캐주얼다이닝이라는 새로운 시장을 정의, 리딩하고 싶습니다”
근데, 언제 봤다고 주인공이세요?
  눈 떠보니 '나'로 태어난 사람.   기억의 수첩을 뒤적여 본다. 맨 첫 장엔 무엇이 쓰여 있을까. 후뢰시맨 가면을 쓰고 엑스칼리버 장난감을 휘두르던 아이. 다섯 살 첫 기억에서 나는 악의 세력에 맞서는 정의로운 용사이자 세상의 주인공이었다. 좀 더 커서 마왕을 단칼에 썰어버릴 줄 알았던 나는, 거울 속 빨갛게 올라온 여드름 하나에도 어쩔 줄 몰라 하는 어른이 됐다. 정의로움으로 세상을 밝힐 줄 알았던 나는, 블로그
[캠페인 하이라이트] MCC 고베식당을 이야기하다
크리에이티브 컨설팅, 실행을 담보로 할 수 있을 것인가? ‘MCC 고베식당’ 프로젝트는 둘로 나뉘어진다. 바로 컨설팅과 실행이다. 그 둘이 함께 붙어 있기에 힘을 발휘한 프로젝트였고, 또한 둘로 나뉘어 있기에 어려운 프로젝트기도 했다. 2010년 4월 27일 매일유업에서 날아든 굵직한 숙제 하나. “우유하던 우리가 카레를 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하면 잘 할지… 총체적으로 해봐!” 그렇게 시작된 숙제는 제일기획으로서는 새로운 ‘제품 컨설팅’ 의 영역이었다. 지금 이 시점, ‘ 크리에이티브 컨설팅’이라 명명된 우리만의 USP(Unique Selling Point)가 되어가고 있지만 초기만해도 가뜩이나 압도적 독점브랜드가 있는 시장 상황 속에 제품개발도 완결되지 않은, 유통도 가격도 결정되지 않은 실로 막막한 프로젝트였다.
REAL 100% AI를 활용해 제작한 ‘LG유플러스 브랜드 광고’를 소개합니다
HSAD에서 국내 최초로 100% AI를 활용해 제작한 LG유플러스의 브랜드 광고 캠페인을 선보입니다.
2023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4년 전망
2023년 연초 광고 시장에 드리웠던 불안한 예감은 현실이 됐다. 지난 2021년 20.4%라는 큰 성장 이후 2022년 5.4% 재 성장하며 숨 고르기로 다시 한번 도약을 준비하던 광고 시장이었다. 하지만 발표된 다수의 전망들은 2023년 광고 시장의 축소를 내다보고 있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에 따르면 2023년 광고비는 전년 대비 3.1%p 하락으로 전망됐고, 이중 방송 광고비는 17.7% 감소가 예상됐다.
[월간 2024밈] 4월 편 - 잼얘해봐?
  오늘 점심 떵개했다?  HSAD 광고 사건  펠꾸 모음  카카오톡 미니 이모티콘  잼얘 해봐.   오늘 점심 떵개했다 음식을 맛있게 먹기로 유명한 유튜브 먹방 유튜버 떵개떵. 출처: 유튜브 떵개떵  음식을 맛있게 먹는 떵개떵의 이름에서 따와, 맛있는 음식을 먹으면 '떵개했다'라는 말을 사용해요! '오늘 점심
광고회사 광고주 현황조사
광고회사 현황조사 광고회사 성장세 주춤한 가운데, 해외물량 늘어 ’23년 10대 광고회사 취급액 20조 8,218억 원
[캠페인 하이라이트] MCC 고베식당을 이야기하다
크리에이티브 컨설팅, 실행을 담보로 할 수 있을 것인가? ‘MCC 고베식당’ 프로젝트는 둘로 나뉘어진다. 바로 컨설팅과 실행이다. 그 둘이 함께 붙어 있기에 힘을 발휘한 프로젝트였고, 또한 둘로 나뉘어 있기에 어려운 프로젝트기도 했다. 2010년 4월 27일 매일유업에서 날아든 굵직한 숙제 하나. “우유하던 우리가 카레를 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하면 잘 할지… 총체적으로 해봐!” 그렇게 시작된 숙제는 제일기획으로서는 새로운 ‘제품 컨설팅’ 의 영역이었다. 지금 이 시점, ‘ 크리에이티브 컨설팅’이라 명명된 우리만의 USP(Unique Selling Point)가 되어가고 있지만 초기만해도 가뜩이나 압도적 독점브랜드가 있는 시장 상황 속에 제품개발도 완결되지 않은, 유통도 가격도 결정되지 않은 실로 막막한 프로젝트였다.
REAL 100% AI를 활용해 제작한 ‘LG유플러스 브랜드 광고’를 소개합니다
HSAD에서 국내 최초로 100% AI를 활용해 제작한 LG유플러스의 브랜드 광고 캠페인을 선보입니다.
2023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4년 전망
2023년 연초 광고 시장에 드리웠던 불안한 예감은 현실이 됐다. 지난 2021년 20.4%라는 큰 성장 이후 2022년 5.4% 재 성장하며 숨 고르기로 다시 한번 도약을 준비하던 광고 시장이었다. 하지만 발표된 다수의 전망들은 2023년 광고 시장의 축소를 내다보고 있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에 따르면 2023년 광고비는 전년 대비 3.1%p 하락으로 전망됐고, 이중 방송 광고비는 17.7% 감소가 예상됐다.
[월간 2024밈] 4월 편 - 잼얘해봐?
  오늘 점심 떵개했다?  HSAD 광고 사건  펠꾸 모음  카카오톡 미니 이모티콘  잼얘 해봐.   오늘 점심 떵개했다 음식을 맛있게 먹기로 유명한 유튜브 먹방 유튜버 떵개떵. 출처: 유튜브 떵개떵  음식을 맛있게 먹는 떵개떵의 이름에서 따와, 맛있는 음식을 먹으면 '떵개했다'라는 말을 사용해요! '오늘 점심
광고회사 광고주 현황조사
광고회사 현황조사 광고회사 성장세 주춤한 가운데, 해외물량 늘어 ’23년 10대 광고회사 취급액 20조 8,218억 원
[캠페인 하이라이트] MCC 고베식당을 이야기하다
크리에이티브 컨설팅, 실행을 담보로 할 수 있을 것인가? ‘MCC 고베식당’ 프로젝트는 둘로 나뉘어진다. 바로 컨설팅과 실행이다. 그 둘이 함께 붙어 있기에 힘을 발휘한 프로젝트였고, 또한 둘로 나뉘어 있기에 어려운 프로젝트기도 했다. 2010년 4월 27일 매일유업에서 날아든 굵직한 숙제 하나. “우유하던 우리가 카레를 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하면 잘 할지… 총체적으로 해봐!” 그렇게 시작된 숙제는 제일기획으로서는 새로운 ‘제품 컨설팅’ 의 영역이었다. 지금 이 시점, ‘ 크리에이티브 컨설팅’이라 명명된 우리만의 USP(Unique Selling Point)가 되어가고 있지만 초기만해도 가뜩이나 압도적 독점브랜드가 있는 시장 상황 속에 제품개발도 완결되지 않은, 유통도 가격도 결정되지 않은 실로 막막한 프로젝트였다.
REAL 100% AI를 활용해 제작한 ‘LG유플러스 브랜드 광고’를 소개합니다
HSAD에서 국내 최초로 100% AI를 활용해 제작한 LG유플러스의 브랜드 광고 캠페인을 선보입니다.
2023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4년 전망
2023년 연초 광고 시장에 드리웠던 불안한 예감은 현실이 됐다. 지난 2021년 20.4%라는 큰 성장 이후 2022년 5.4% 재 성장하며 숨 고르기로 다시 한번 도약을 준비하던 광고 시장이었다. 하지만 발표된 다수의 전망들은 2023년 광고 시장의 축소를 내다보고 있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에 따르면 2023년 광고비는 전년 대비 3.1%p 하락으로 전망됐고, 이중 방송 광고비는 17.7% 감소가 예상됐다.
[월간 2024밈] 4월 편 - 잼얘해봐?
  오늘 점심 떵개했다?  HSAD 광고 사건  펠꾸 모음  카카오톡 미니 이모티콘  잼얘 해봐.   오늘 점심 떵개했다 음식을 맛있게 먹기로 유명한 유튜브 먹방 유튜버 떵개떵. 출처: 유튜브 떵개떵  음식을 맛있게 먹는 떵개떵의 이름에서 따와, 맛있는 음식을 먹으면 '떵개했다'라는 말을 사용해요! '오늘 점심
광고회사 광고주 현황조사
광고회사 현황조사 광고회사 성장세 주춤한 가운데, 해외물량 늘어 ’23년 10대 광고회사 취급액 20조 8,218억 원
프리맨스
woo8166
허쉬
woo8166
소프롤레
woo8166
Blanx
poppop01
CSL Sofas
bigru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