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목 저자 출처 학회/발행처
기업의 문화예술지원활동이 기업의 주식가치에 미치는 여향에 관한 연구 | 2011.02.15
기타 | 경영학연구 (한국경영학회)
최근 기업의 문화예술지원활동은 과거 이타주의적인 후원의 성격을 벗어나 기업의 이익을 당보로 하는 마케팅적 성격이 강화되고 있다. 즉 최근 기업의 문화예술기원활동은 장·단가적으로 기업에게 이익이 되는 `투자`의 한 방면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기업들이 이러한 점에 대해 원론적으로 공감하더라도 여전히 문화예술지원활동에 실질적인 투자를 결정하기까지 소극적인 입장을 취한다. 이는 기업 입장에서 문화예술지원활동의 성과를 재무적으로 증명하기 어렵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지원 활동이 효과가 모호한 투자수단이나 단기적으로 묻히는 비용이 아닌 기업의 시장가치를 늘려주는 투자수단이 될 수 있다는 명확한 근거가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문화예술지원활동 투자효과를 재무적 성과와 연계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사건연구방법론을 통해 205년 1월 1일부터 2009년 9월까지 언론에 공개된 130건의 문화예술지원활동 사건에 대해 분석한 결과, 기업의 문화예술지원활동이 사건발표시점(event day) 당일에 평균 0.561%의 비정상 수익률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의 문화예술자원활동이 시장에서 기업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로 평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추가적으로 기업이 지원하는 문화예술지원활동이 비상업적인 목적, 대중적 형태 그리고 일정규모 이상이었을 때 투자 효율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의 경쟁자 기여 효과: 마이너 브랜드의 관점에서 | 2011.01.26
광고효과 | 경영학연구 (한국경영학회)
기존의 마케팅 연구와 상식에 따르면 광고는 광고의 대상이 되는 브랜드(이하 타겟 브랜드)에게는 혜택을, 경쟁자 브랜드에게는 피해를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만약, 광고로 인한 태도?선호도의 상승이 타겟 브랜드에 국한되지 않고경쟁자 브랜드에서까지 발생한다면, 이러한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논리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연상 네트워크 모형을 바탕으로 ‘광고의 경쟁자 기여효과’가 어떻게 하여 나타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시장구조 하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는 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The Effect of Fair Trade on Comsumer Behavior: In Terms of Ethical Comnumerism | 2009.05.12
광고와 소비자행동 | 경영학연구 (한국경영학회)
Fair Trade has experienced incresed popularity due to rising unmbers of socially connerned consumers. This study intends to gain ingights into the drives to the growth of Fair Trade as well as to evaluate its future potential in South Korean market.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consumers on Fair Trade products and their level of ethical consumerism were measured. A sample of 564 randomly selected participants wsa asked to complete a survey. The study presented empirical evidence that consumers level of ethical comsumeris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for Fair Trade products. and strong purchase intention leads to positive effects on repurchase intention. brand loyalty. and brand commitment. This study adds to understanding of the emerging market to enhance further development of Fair Trade and to open up new possibilities in production of goods and services. (소비수준이 상승하고 의식있는 소비자가 증가함에 따라, Fair Trade(공정무역)가 세계적으로 도입 및 확대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추세와 함께, 유럽 및 미국을 중심으로 Fair Trade의 마케팅 접극 및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에도 Fair Trade가 도입된 바 있지만, 이를 경영학적으로 접근하는 연구가 국내에는 전무하다. 본 연구는 Fair Trade의 이러한 추세를 반영한 경영학적 통찰력을 착고, 이것이 한국내 소비자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록 한다. 한국소비자의 Fair Trade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와 윤리적 소비수준을 조사하고 그 관련성을 중점적으로 논의토록 한다. 본 연구는 무작위 선출된 564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주의 수준이 Fair Trade 제품의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Fair Trade제품의 구매의도 수준은 Fair Trade 제품의 재구매의도와 상표중성도 및 상표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이 확인 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Fair Trade연구이며, 다양한 역구 가능 방향을 제안해 준다는 점에서 학문적 공헌 점을 찾을 수 있겠다. 실무적으로는 Fair Trade가 확대 되어가는 어머징 마켓에 대한 이해를 가져다 주며, Fair Trade 제품의 도입을 통한 기업의 이윤과 소비자의 만족을 동시에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해 준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