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브랜드(citizen brand)로서 기업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활동의 확장에 관한 연구_'닥터유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 한국홍보학회 | 26 pages| 2009.04.06| 파일형태 :
조회 1396 다운로드 22
자료요약
본 연구는 국내 기업들의 CSR 활동 중 해당 기업의 경영활동, 생산활동 등으로 인해 발생된 공공의제에 대한 지역사회의 요구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통해 시민브랜드 구축이라는 CSR의 새로운 패러다임 영역을 제시하고자 했다. 기업은 이제 어떻게 하면 사회적 책임 즉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활동을 통해 공중, 사회와 서로 win-win 할 수 있는가에 대한 다각적인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CSR 활동은 비즈니스차원의 활동 외에 수동적인 방어 차원, 예를 들어 기업이 윤리적, 정치적, 경제적, 법적 문제 등에 대한 문제로 인해 위기상황에 직면했을 때 여론을 의식해 위기 모면 차원의 기부행위나 봉사활동 등의 양상을 보인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들이 그들이 속한 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본질적인 사회문제 해결에 앞장서고, 사회의 위기가 곧 그 기업 자신들의 위기라는 인식 하에, 자신들의 산업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해 책임감을 갖고 능동적으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대처하는 CSR 활동에 주목했다. 그리고 기업 활동을 통해 발생한 공공의 문제에 능동적인 캠페인을 통해 접근하는 일련의 PR 캠페인 활동을 시민브랜드로 재규정해 보았다. 이를 위해 시민브랜드 활동으로 규정할 수 있는 활동을 사례 연구 및 심층 인터뷰를 통해 분석해 봄으로써 기업들이 CSR의 차원에서 어떻게 시민브랜드를 구축하며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영속성을 개선해 나갈 수 있는지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궁극적으로 시민브랜딩 CSR 활동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이를 능동적인 사회참여의 모델로 제시했다.
목차
1. 문제제기

2. 이론적 배경
1) 기업의 사회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에 대한 재고찰
2) 계몽적 자기이익(Enlightened Self-interest)과 적극적 사회참여
3) 시민브랜드: 능동적 사회참여와 기업시민의식

3. 연구문제 및 방법
1) 연구문제
2)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사회책임 능동적 사회참여 시민브랜드 시민브랜딩 사전 위기관리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홍보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