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시대, 미디어 참여와 참여적 시민권
한국언론학회 | 한국언론학회 | 44 pages| 2018.06.21| 파일형태 :
조회 2936 다운로드 0
자료요약
이주의 시대에 이주민이 미디어에 참여하는 사례들이 늘어나고 있고, 이러한 미디어 참여를 통해 이주민은 그들의 정체성과 이슈를 표현하면서 능동적인 행위자가 될 수 있다. 반면, 주류미디어에서는 백인이 인종적 위계의 최상위층에 있는 것처럼 묘사되고, 동남아 출신이나 유색인종은 불쌍하거나 연약한 존재 또는 잠재적 위협으로 고정관념화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주류미디어의 인종주의적 재현은 미디어가 집착하는 상업성과 제작자들의 소수자에 대한 무관심과 인종적 편견이 결합된 결과이며, 이주민 스스로 미디어를 통해 목소리 내기에 참여하게 되는 배경이 되기도 한다. 이주민의 라디오 등 미디어 참여는 주류-소수문화 간 소통과 선주민-이주민 간 이해와 연대를 촉진하면서 이주의 시대에 필요한 대안적 시민권 논의와도 연결된다. 이주민은 국적취득 여부와 관련 없이 출신국, 인종, 언어, 문화차이로 인한 편견과 차별의 대상이 된다는 점에서 국적이 아닌 공동체에서의 실질적인 참여 중심의 시민권 논의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이주민의 미디어 참여와 시민권 논의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주민의 미디어 참여가 소통권과 참여적 시민권으로 연결되는 과정, 이를 통해 다문화사회 상호소통과 연대에 기여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객관적 연구자’ 신화를 뛰어넘어 분석에 따라 올바른 방향이라고 판단되는 담론을 적극 제기하는 연구와 현장의 상황에 귀 기울이는 ‘아래로부터’ 접근의 필요성도 제안했으며, 이주민 등 소수자가 연구의 장을 통해 목소리를 내면서 구성원으로의 권리를 획득해야 함을 강조했다.
 
In the age of migration, more migrants participate in media activities, and they become active performers by expressing their identities and issues through media participation. On the other hand, mainstream media keep representing white people as the highest class and positive image while continuing to stereotype migrants from South East Asia and Africa as poor and weak subjects or even potentially risky people. Mainstream media’s racism based representation is an outcome of media producers’ indifference to minorities and their racial prejudice, and make migrants raise their voice through media participation. Migrants’ radio and pod cast broadcasting promotes mainstream and minority cultures’ mutual communication as well as native Koreans and migrants’ intercultural understanding and solidarity formation. Since migrants, regardless of their achieving Korean nationality, can be targets of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based on their origin, race, cultural difference, etc, it is a necessity to discuss citizenship not based on their nationality but based on their actual community participation. This research, based on literature review of diverse research on migrants’ media participation and citizenship, analyzed how migrants’ media participation leads to strengthening their right to communicate as well as achieving their participatory citizenship and how these media activities contribute to mutual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consolidation. Based on the ‘bottom up’ approach and beyond the myth of ‘objective/neutral researcher’, this research adopted a research perspective which actively presents correct discourses and then argued that migrants should obtain their rights as community members by raising their voices and participate in media activities. Moreover,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research should be based on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regarding vivid multicultural situations and focus on founding and reinterpreting theories, which are appropriate for Korean circumstances rather than adhering to Western theories.
목차
1. 서론 : 이주의 시대, 미디어 참여와 시민권
2. 소통권과 참여적 시민권 논의
3. 소수자 이산 공동체와 시민권 개념의 변화
4. 다문화정책과 다문화담론, 다문화주의 논쟁
5. 이주민의 미디어 참여와 참여적 시민권
6. 결론 : 미디어 참여와 ‘아래로부터’의 연구
#미디어 참여 #이주민 미디어 #시민권 #소통권 #참여적 시민권 #media participation #migrant media #citizenship #the right to communicate #participatory citizenship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언론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