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CSR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우연성 이론의 적용
홍보학연구 | 한국홍보학회 | 33 pages| 2012.12.06| 파일형태 :
조회 2862 다운로드 2
자료요약
본 연구는 기업의 CSR 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우연성 이론 (Contingency Theory of Public Relations)에서 제시된 기업의
PR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외적 상황변수들을 적용해 보았다. 연구를 위해
다양한 조직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종속변수로는 기부금, CSR 활동 유형 (공익사업, 기부협찬, 자원봉사), CSR 활동
참여횟수 및 참여시간, 그리고 CSR 활동에 대한 기업구성원의 태도를, 독립변수
로는 86개의 상황변수 중 조직 규모, 산업 내 경쟁수준, 조직명성위기 빈도, 기업
구성원이 인식하는 산업환경(이상 외부변수)과 경제적 안정성, CEO의 CSR 활동
에 대한 이해/지지수준, CSR 전담부서의 유무, 기업문화 (집단/발전/목표지향적/
위계적), 기업구성원의 관련교육수준 (이상 내부변수)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조직 규모가 클수록, 조직명성의 위기빈도가 잦을수록
기부금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적 안정성은 기부금에 부적 영향을
주었으며, CEO의 CSR 활동에 대한 이해는 공익사업, 기부협찬, 자원봉사,
CSR 참여횟수 및 시간, 기업구성원의 CSR 활동에 대한 태도 등 대부분의 종속
변인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었다. 위계문화는 종속변인 중
공익사업, 자원봉사, CSR 활동 참여시간, 구성원의 CSR에 대한 태도 등에 정적
영향을 주는 기업문화 요인으로 나타났다. 전담부서가 있는 경우, 각종 CSR
사업에 더 많이 참여하고 있었고 기업 구성원들의 CSR 활동 참여시간도 더
길고 CSR 활동에 대한 태도도 더욱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전담
부서를 가진 조직의 경우 CSR 활동을 좀 더 경영전략적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행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그간의 CSR 관련 연구가 CSR의 효과에 초점을 맞추어 온 반면, 본 연구는
어떠한 요인들이 기업의 CSR 수행에 영향을 미쳤는지 연구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특히 이 연구는 그간 기업 PR활동 및 위기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제시했던 우연성 이론을 CSR에 적용하여 해당 이론이 CSR 상황에도 적용될
수 있는 지 검증했다는 데 이론적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목차
1. 서론
2. 문헌연구
3. 연구문제
4. 연구방법
5. 연구결과
6.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기업의 사회적 책임 CSR 우연성 이론 상황변수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홍보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