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에 사용된 캐릭터에 대한 반응과 구매의도
한국마케팅연구 | 한국마케팅학회 | 22 pages| 2020.03.09| 파일형태 :
조회 1138 다운로드 0
자료요약
최근 화장품 시장에서 패키지 디자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캐릭터를 활용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런데 화장품의 패키지 디자인에 사용된 캐릭터가 화장품의 구매의도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키지 디자인에 사용된 캐릭터의 유형에 따라 지각되는 캐릭터의 특성과 화장품의 구매의도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캐릭터 유형을 기능성 캐릭터와 상징성 캐릭터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화장품 유형도 기초화장품과 색조 화장품으로 분류하여, 2<화장품 유형: 기초 화장품, 색조 화장품) × 2(캐릭터 유형: 기능성 캐릭터, 상징성 캐릭터)의 실험설계를 하였다. 그리고 화장품을 사용하는 대한민국 10∼30대 여성 370명에게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는 기능성 캐릭터를 조력자 역할로 지각하고, 상징성 캐릭터를 파트너 역할로 지각한다. 둘째, 기초 화장품에서는 조력자 역할을 하는 기능성 캐릭터가 제품의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색조 화장품에서는 파트너 역할을 하는 상징성 캐릭터가 제품의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셋째, 기초 화장품에서 기능성 캐릭터의 조력자 역할은 객체 관련성 보다 목적 관련성을 더 크게 지각하게하고, 기초 화장품의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넷째, 색조 화장품에서 상징성 캐릭터의 파트너 역할은 소비자에게 객체 관련성을 더 크게 지각하게 하고, 색조 화장품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탐색되었다. 마지막으로, 기초 화장품의 기능성 캐릭터에 의해 지각된 목적 관련성은 기초 화장품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색조 화장품의 상징성 캐릭터에 의해 지각된 객체 관련성은 색조 화장품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실증되었다.
 
The importance of package design has been emphasized lately in the cosmetic market, and a variety of products utilizing characters for package design have been released in the market. There has been, however, little research of how the characters used in the cosmetic package design could prompt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features of the characters perceived by consumers depending on type of package design. For this purpose, cosmetics were classified into basic cosmetic and color cosmetic, and the characters used in package design were divided into functional character and symbolic character.
Between-subjects experimental design was mapped out with 2 (type of cosmetics: basic cosmetic and color cosmetic) × 2 (type of characters: functional character and symbolic character). 370 Korean women participated in questionnaire survey.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put to analysis. The outcomes from the empirical analysis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functional characters used in package design of basic cosmetics were perceived by consumers as playing a supportive servant role. On the other hand, symbolic characters used in the package design of color cosmetics were perceived to play a cooperative role as partners. Second, the use of functional characters rather than symbolic characters as a package design of the basic cosmetics had positively influenced the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the basic cosmetics. In color cosmetics, however, using a symbolic character rather than a functional character as a package design had proven to have positive impact upon the intent to purchase the color cosmetics. Third, the functional characters used in the package design of basic cosmetics made the goal relevance more perceptive than object relevance. The role of the functional characters perceived as supportive servant when they were used in the basic cosmetic package design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goal relevance, Fourth, the symbolic characters used in the package design of color cosmetics had been found to let perceive object relevance more strongly than goal relevance. The object relevance perceived from the symbolic character used in the color cosmetic package desig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purchase the color cosmetics. Fifth, it was learned from the analysis that the object relevance of the symbolic characters perceived when they were used for the package design of color cosmetics exercis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purchase the cosmetics, and the role of symbolic characters perceived as partners when they were used for the package design of color cosmetic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object relevanc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설정
Ⅲ. 실험설계
Ⅳ. 실증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캐릭터 유형 #캐릭터 역할 #목적 관련성 #객체 관련성 #구매의도 #Character Role #Character Type #Goal Relevance #Object Relevance #Purchase Intention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마케팅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