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판매 유통 환경에서 구매 의사 결정 단계별 커뮤니케이션 접점의 효과 - 정보성, 매력성, 구매 영향력을 중심으로
자료요약
본 연구는 방문판매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구매 의사 결정 과정 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접점 가운데 정보성, 매력성, 구매 영향력 효과가 높은 접점을 선정하고, 각 접점의 유형 별 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수용자 성향인 방문판매 이용 정도 및 방문판매에 대한 지식 수준이라는 변인을 활용해 방문판매 소비자의 특성이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와 소비자와 방문판매원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도 자세히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방문판매를 통한 구매 의사 결정 과정에서 소비자가 인지하는 일곱 가지 접점의 유형별 커뮤니케이션 효과는 정보성, 매력성, 구매 영향력 영역 별로 소폭 차이가 있었으며, 구매 의사 결정 과정에서 소비자의 방문판매에 대한 지식 수준에 따라서도 접점 유형별 커뮤니케이션 효과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도 소비자 집단과 방문판매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 보다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실행을 위해서는 방문판매 유통 현장에서 판매원 개인의 경험과 판단에 의한 접점 선택보다 소비자의 특성에 근거한 보다 전략적이고 과학적인 접점 활용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communication contact points through the consumer purchase decision making process.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ose contact points in terms of their informativeness, attractiveness and purchase influence in the context of door-to-door sales and gauged the influence of the level of knowledge of door-to-door sales. It also compared the perception of the effects of those contact points between consumers and door-to-door sales person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informativeness, attractiveness and purchase influence of different communication contact points varied in door-to-door context. Furthermore, the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each contact point type differed between consumers and sales persons, which indicates that the selection and use of contact point in the field needs more scientific and strategic approaches.
연구 결과, 방문판매를 통한 구매 의사 결정 과정에서 소비자가 인지하는 일곱 가지 접점의 유형별 커뮤니케이션 효과는 정보성, 매력성, 구매 영향력 영역 별로 소폭 차이가 있었으며, 구매 의사 결정 과정에서 소비자의 방문판매에 대한 지식 수준에 따라서도 접점 유형별 커뮤니케이션 효과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도 소비자 집단과 방문판매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 보다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실행을 위해서는 방문판매 유통 현장에서 판매원 개인의 경험과 판단에 의한 접점 선택보다 소비자의 특성에 근거한 보다 전략적이고 과학적인 접점 활용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communication contact points through the consumer purchase decision making process.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ose contact points in terms of their informativeness, attractiveness and purchase influence in the context of door-to-door sales and gauged the influence of the level of knowledge of door-to-door sales. It also compared the perception of the effects of those contact points between consumers and door-to-door sales person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informativeness, attractiveness and purchase influence of different communication contact points varied in door-to-door context. Furthermore, the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each contact point type differed between consumers and sales persons, which indicates that the selection and use of contact point in the field needs more scientific and strategic approach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방문 판매
커뮤니케이션 접점
커뮤니케이션 효과
소비자 구매 의사 결정 과정
door-to-door sales
communication contact point
consumer purchase decision making
marketing commun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