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김다영 / 여행 트렌드 연구소 <히치하이커> 대표. 소비자 관점의 여행 트렌드를 분석하고 강의한다. 저서 <여행을 바꾸는 여행 트렌드> <여행의 미래> 외.
지난 3년간 꽁꽁 얼어붙었던 여행길이 활짝 열리며 소비자의 발걸음이 바빠지고 있다. 우리가 여행을 바라보는 기준과 행태는 팬데믹을 거치며 변화를 거듭해왔다. 인공지능의 발달로 다양한 여행사가 대화형 챗봇을 도입하고, 비대면 기술도 비약적으로 발전해 스마트 호텔이 대중화됐다. 또 크리에이터 경제의 성장은 세분화된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을 만족시킬 수 있는 여행 상품의 탄생으로 연결된다. 여행을 바라보는 소비자의 인식도 변해 지속가능성은 중요한 이슈로 부상했다. 친환경 여행 소비부터 세계 각국의 관광 정책까지, 엔데믹 이후 달라진 여행 트렌드를 살펴본다.
기술 기반 여행으로의 변화
엔데믹 이후 가장 먼저 살펴볼 여행 트렌드는 트래블 테크. 여행산업 분야의 기술 발전이다. 무엇보다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맞춤형 정보 제공을 꼽을 수 있다. 최근에는 챗GPT의 출현으로 인해 온라인 여행 서비스 분야가 다시 한번 크게 요동치고 있다. 국내에서 가장 발 빠르게 챗GPT를 도입한 기업은 '마이리얼트립'이다. 2023년 2월 자사 앱 내에 'AI 여행플래너'라는 신규 기능을 추가했는데 기획부터 출시까지 두 달밖에 소요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더욱 큰 주목을 받았다.
AI 여행플래너는 일종의 챗봇으로 고객이 궁금한 점이나 여행 일정을 물으면 자동화된 답변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기존의 챗GPT와 다른 점은 답변으로 제시된 텍스트 중 여행지나 장소에 해당하는 키워드에 링크가 달려있고 클릭하면 자사의 상품 검색 결과로 연결된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고객은 여행 일정을 설계/검색하는데 드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해외에서도 익스피디아, 트립닷컴 등 글로벌 여행회사가 챗GPT를 속속 도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