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와의 공존
HS Ad 기사입력 2023.04.24 12:00 조회 922
 


누구는 판도라의 상자를 열었다고 합니다. 누구는 획기적인 기술이 등장할 때마다 늘 있어 왔던 우려라 크게 걱정할 필요 없다고 합니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AI에 대한 시각. 이미 많은 이들이 검색 대신 AI에게 물어보고 있으며, 정보뿐 아니라 아이디어까지 얻습니다.
 
토론토 대학 심리학 교수이자 세계적인 베스트셀러[12가지 인생의 법칙]의 저자, 조던 피터슨은 ChatGPT에 대해 자신의 경험을 얘기했습니다. 그는 ChatGPT에게 ‘질서를 넘어서는 13번째 규칙에 대해 킹 제임스 성경과 도덕경을 결합해 에세이를 써달라’고 했습니다. 그러자 3초만에 4페이지에 달하는 에세이가 완성됐습니다. 문법적으로도 완벽하고 철학적이었으며, 자신이 쓴 게 아닌가 놀라울 정도였다고 합니다.
 
하나의 주제도 어려운데 두 개의 분야를 결합해 매우 짧은 시간에 완성도 있는 글을 써낸 겁니다. 그는 AI의 경악할 만한 능력과 놀라움에 대해 경고했습니다. 영국 일간지 인디펜던트는 ChatGPT의 등장에 ‘구글은 끝났다’고 합니다.
 
변혁의 시기입니다. AI의 등장은 단순한 기술의 등장이 아니라 새로운 ‘존재’의 등장이라고 보는 사람도 있습니다. AI로 어떤 직업이 사라질 것인지,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지 토론의 주제가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크리에이트브 분야에도 변화는 물론 시작됐습니다.
 
 
ChatGPT가 쓴 카피를 선보인 라이언 레이놀즈


ChatGPT Writes a Mint Mobile Ad / 출처: Ryan Reynolds 공식 유튜브
 
 
미국 배우, 라이언 레이놀즈는 Mint Mobile이라는 후발 무선 통신 기업의 소유주입니다. 영화 제작사이자 디지털 마케팅 대행사인 Maximum Effort의 설립자이기도 하죠. 23년 1월, 그는 새로운 광고를 선보였습니다. 그의 대행사와 만든 Mint Mobile 광고. 다만 차이가 있었습니다. 카피라이터가 ChatCPT라는 것.
 
라이언 레이놀즈는 ChatGPT에게 자신의 내레이션으로 카피를 써달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조건을 달았죠. 조크를 사용하되 험담도 담고, 사람들이 민트의 홀리데이 프로모션이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는 걸 알게 해 달라고. AI는 그가 내건 모든 조건을 충족시켜 카피를 썼습니다.
 
“민트 모바일은 쓰레기(shit)이다. 하지만 한 가지 얘기하고 싶은 건 모든 거대 통신사들이 홀리데이 프로모션을 끝냈지만, 민트 모바일은 지금도 진행 중이라는 것. 그러니 한번 써 보시길. 3개월치를 결제하면 3개월이 보너스로 제공된다. 게다가 고객센터에 전화 걸면 언제나 라이언 레이놀즈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농담이다. 이건 사실이 아니다.”
 
카피를 다 읽은 라이언 레이놀즈는 살짝 공포스럽다고 합니다. 하지만 흥미진진하다고도 하죠. ChatGPT는 라이언이 요구한 조크까지 모두 갖춘 카피를 썼고, 그가 전하고자 한 메시지를 군더더기 없이 전했습니다. 게다가 이 영상을 찍는 데는 돈이 거의 들지 않았다고 합니다. 영상은 스마트폰으로 찍고, 편집은 내부 대행사인 Maximum Effort가 했기에.
 
실제 카피라이터가 썼다면, 사실 별 거 아닌 카피일 수 있습니다. 단순한 사실 나열입니다. 다만 이걸 ChatGPT가 레이놀즈의 요구를 제대로 이해하고, 창작해낸 것이라는 데 놀라움이 있죠. 지금은 이 정도인 듯합니다. ChatGPT라는 꼬리표를 떼면, 특별할 게 없는 수준. 하지만 우리가 활용하고 동시에 경계해야 할 건, AI는 매일 매일 학습하고,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는 거죠.
 
 
AI의 부족함에 초첨을 맞춘 Hardees 버거
  
 
Hardee's(하디스) - #UnAimaginable(AI는 만들 수 없는 햄버거) / 출처: AD:chive 유튜브
 
 
AI는 아직 시작 단계입니다. 아직 모든 걸 완벽하게 수행해 내는 건 아닙니다. 중동의 하디스 버거는 오히려 여기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먼저, Open AI의  그림 생성 기반인 DALL-E에게 그림을 그려 달라고 했습니다 그들의 대표 버거인 ‘슈퍼 스타’를. 하지만 DALL-E가 보여준 건 기괴하고 이상한 버거들뿐이었죠. 먹음직스러운 버거는 하나도 없었습니다. 이번엔 더 자세한 설명을 덧붙였습니다.
 
‘특별하게 토스트된 하디스 참깨 번 위에 그릴로 구워진 100% 쇠고기 패티 두장, 두 장의 아메리칸 치즈가 녹아내리고 있고, 스페셜 소스와 마요네즈, 딜 피클즈, 신선한 토마토, 양파와 아삭한 양배추가 있는 슈퍼스타 버거를 그려주세요’
 
하지만 DALL-E는 이번에도 먹지 못할 버거만 잔뜩 그려냈죠. 슈퍼스타라는 이름에 어울리게 별을 촘촘히 달고 있거나, 못 먹을 듯한 보라색 패티가 있거나, 먹음직스러운 번이 아닌 플라스틱 재질로 보이는 번으로 만들어진 버거이거나... 총 10,000번에 거친 시도 끝에, 아직 AI는 슈퍼 스타 버거를 맛있게 그려내지 못한다는 결론에 이르렀습니다. 그래서 슈퍼 스타 버거는 오직 하디스 매장에서만 만날 수 있으니 매장에서 맛보라는 권유로 끝냅니다. AI가 그린 그림들에는 #UnAimaginable이라는 해시태그를 달아 공개했고요. AI는 상상할 수 없는 버거라는 뜻. 재미있는 시도입니다.
 
 
소비자에게 역할을 돌린 코카콜라
 
 
Coca-Cola® | Create Real Magic / 출처: Coca-Cola 유튜브
 
 
21년부터 ‘Real Magic' 캠페인을 이어오고 있는 코카콜라. 그들은  더욱 적극적으로 AI를 활용해, 진짜 'Real Magic'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CreateRealMagic.com이라는 플랫폼에서, 누구나 자유롭게 AI를 써서 예술혼을 발휘할 기회를 주는 거죠. 다만 코카콜라의 아이콘들을 활용해야 합니다. 유선형의 코카콜라 병, 로고, 산타 클로스, 북극 곰 같은 요소들. 이 캠페인은 ChatGPT와 DALL-E를 만든 OpenAI, 컨설턴트 기업인 Bain, 인플루언서 아티스트, 그리고 코카콜라의 프로그래매틱 광고 대행사인 OpenX와의 협업으로 진행됐습니다.
 
콘테스는 3월 31일까지 17개 국가에서 진행됐으며, 선정된 작품은 뉴욕 타임스 스퀘어와 런던의 피카딜리 서커스의 빌보드에 게재될 예정입니다. 또한 30명의 크리에이터들을 선정해, RealMagic Creative Academy에 참여할 기회를 주며, 아틀란타에 있는 코카콜라 본사에서 3일간의 워크샵을 진행합니다.
 
우리나라는 이벤트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사이트에 들어가도 작품을 볼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이벤트가 진행되고 있는 국가에서는 CreateRealMagic.com에 들어가서 이메일 주소와 우편 번호만 넣으면 창작을 펼칠 수 있죠. 그림뿐 아니라 그림에 들어갈 문구까지 요구대로 창작해 주는AI와의 협업. 코카콜라는 팬들에게 ‘그들이 한번도 상상해 보지 못한 방법’의 경험을 만들었습니다.
 
 
Alexa, I See Coke / 출처: VMLY&R COMMERCE 유튜브
 

사우디아라비아의 코카콜라는 아마존의 인공지능 플랫폼 알렉사와 협업했습니다. 영화나 TV쇼를 보다 코카콜라를 발견하면, ‘알렉사, I see coke.’라고만 하면 됩니다. 그럼 알렉사는 어디서 발견했냐고 묻죠. 소비자의 대답에 따라 알렉사는 재치 있는 답과 함께 할인 쿠폰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홈얼론’에서 봤다고 하면, ‘부모님이 돌아오실 때까지 콜라가 친구가 되어줄 거예요’라고 대답하고, ‘죠스’에서 봤다고 하면, ‘수영은 건너 뛰고 차가운 콜라를 즐기는 게 낫겠어요’라고 조언합니다. 코카콜라 인스타그램엔 어떤 작품에서 콜라를 발견할 수 있는지 힌트를 포스팅했고요. 가장 오래 된 ‘킹콩’부터 최근 넷플릭스 시리즈인 ‘기묘한 이야기’까지 다양합니다.

콘텐츠에서 우연히 콜라를 발견하는 평범함을 즐거움으로 바꾼 코카콜라. 소비자들과의 친밀감을 돈독히 만들고 있습니다. 보이스 AI 사용의 좋은 예입니다.
 

AI와 인간이 가야할 길은
 

Open AI의 설립자이기도 한 일론 머스크는 3월 29일, 여러 명의 테크 리더와 함께 사람의 수준으로 AI를 앞다퉈 개발하고 있는 위험한 경주를 멈추라고 발표했습니다. 비영리적 목적으로 시작한 Open AI가 상업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다, AI를 수준 높게 개발하는 데만 급급한 나머지 AI가 추구해야 할 방향과 철학에 대한 고민이 없는 것에 대한 경고입니다.

AI는 사람의 성취감도 빼앗고 있으며, 인간을 위기로 몰아넣을 수 있는 위험성이 큰데, AI 개발에 대한 결정은 사람들이 선출하지 않은, 방향에 대해 크게 고민하지 않은 테크 리더들이 결정하고 있다는 거죠. AI 파급력이 워낙 크기에, 발전 방향에 대한 의사 결정도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는 뜻이겠죠. 적어도 6개월간은 개발을 멈추고 검토할 시간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세돌과의 바둑 대결로 우리에게 인상적으로 다가왔던 AI. 저도 ChatGPT에게 AI로 만든 광고에 대한 칼럼을 A4용지 1매 정도로 써달라고 해봤습니다. 한글이어서인지 조던 피터슨 교수가 경험한 것처럼 33초 만에 써내진 않았습니다. 그보다 몇 초가 더 걸렸지만, 웬만한 이보다 짜임새 있는 문장을 선보였습니다.

AI의 역할, AI로 만든 광고의 문제점, AI가 일정한 패턴을 만들기 때문에 야기될 수 있는 창의력의 부재. 결론은 광고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크리에이터들이 인공지능과 협업하라는 조언이었습니다.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깔끔한 글이었습니다. 어쩌면 사례를 들어 재미있게 써달라고 요청했으면, 더 좋은 글을 선보였을지도 모릅니다.

이제 AI가 없는 세상으로 돌아가긴 늦었습니다. 그게 위협적이든 아니든, 어떻게 공존할지를 고민해야 하죠. 영감을 주는 존재로 만들지 경쟁자로 만들지, AI의 발전 속도만큼 많은 가능성을 찾아야 하는 시기입니다.


#ai ·  #HSAd ·  #HS애드 · 
이 기사에 대한 의견 ( 총 0개 )
2023년 하반기 광고 시장 전망 (Feat. 상반기 리뷰)
우리에게 영영사전으로 유명한 영국의 출판사 콜린스는 22년을 마무리하며 올해의 단어로 ‘Permacrisis(영구적 위기)’를 선정했다. 팬데믹, 기후변화, 우크라이나 전쟁, 인플레이션, 경기 침체 등 대격변의 시대에 불안정과 불안이 지속되는 일상을 겪고 있는 시대상이 반영된 단어이다.
[Brand] 2022년 호랑이해 맞아 더 유명해진 ‘무직타이거’
 2022년 호랑이해 맞아 더 유명해진 ‘무직타이거’ 뚱뚱한 호랑이 캐릭터 ‘뚱랑이’를 소개합니다!   글 배진영 실장|무직타이거 ‘뚱랑이’의 탄생 무직타이거는 ‘뚱랑이’가 주인공인 캐릭터 디자인 브랜드입니다. 뚱뚱한 호랑이의 줄임말인 뚱랑이는 인스타그램에서 매일 다른 톤의 호랑이 드로잉을 실험하는 가운데 온라인에서 고객 피드백을 흡수해 탄생했습니다. ‘뚱랑이’라는 이름도 팬 분들이 지어준 이름입니다. 무직타이거의 대표 캐릭터가 호랑이가 된 이유는 바로 ‘한국적’인데 있습니다. 호랑이는 언제나 우리나라의 마스코트 역할을 톡톡히 해왔습니다. 옛이야기 속에서도 양반, 수호신, 민중 등 다양한 페르소나로 등장했습니다. 이러한 호랑이가 현재의 우리를 대변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드디어, 맛있는 비건식의 시대가 열리다! CJ제일제당 플랜테이블 캠페인
비건식에 대한 편견을 깨고, “맛있는 비건식”의 시대를 선포한! <2023 CJ제일제당 플랜테이블> 캠페인을 낱낱이 소개해 드립니다
움직이는 모든 것에 자유를, 2023 HL Mando 캠페인
2022년 한라그룹의 새로운 이름 HL을 알렸던 광고를 기억하시나요? 창립 60주년을 맞아 기업 이름을 바꾼 HL의 사명변경 캠페인과 새로 출범한 자율주행 기업 HL Klemove의 브랜드 캠페인이었는데요. 2023년 HL은 세상 새로운 캠페인으로 다시 돌아왔습니다. HL의 모빌리티 사업(Auto Sector)을 대표하는 히어로 브랜드 ‘HL 만도’ 캠페인으로 말이죠. HL과 HS애드가 만나 또 한 번 탄생한 캠페인, 자세히 들여다볼까요?
HS애드, 지난 10년간 마케팅 성과 1위 에이전시로 선정
HS애드가 10주년을 맞이한 2023 에피 어워드 코리아에서 지난 10년간 가장 뛰어난 마케팅 성과를 달성한 광고회사로 선정됐습니다!
브랜드 콜라보레이션, 어떻게 준비해요? | HS애드 기획자 인터뷰
편의점을 가도, 유튜브를 봐도, 팝업스토어를 가도, 요즘 마케팅엔 콜라보레이션이 필수가 아닐까 할 정도로 많은 콜라보레이션 케이스를 볼 수 있는데요. ‘와… 어떻게 이런 콜라보를 했지?’ 하고 생각했던 순간들이 있습니다.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안 어울릴 것 같았던 두 브랜드가 만나기도 하고, 대행사 종사자의 입장에서는, ‘도대체 이 프로젝트를 어떻게 진행했을까’ 하는 경이로움을 느끼기도 하니까요.
[캠페인 하이라이트] MCC 고베식당을 이야기하다
크리에이티브 컨설팅, 실행을 담보로 할 수 있을 것인가? ‘MCC 고베식당’ 프로젝트는 둘로 나뉘어진다. 바로 컨설팅과 실행이다. 그 둘이 함께 붙어 있기에 힘을 발휘한 프로젝트였고, 또한 둘로 나뉘어 있기에 어려운 프로젝트기도 했다. 2010년 4월 27일 매일유업에서 날아든 굵직한 숙제 하나. “우유하던 우리가 카레를 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하면 잘 할지… 총체적으로 해봐!” 그렇게 시작된 숙제는 제일기획으로서는 새로운 ‘제품 컨설팅’ 의 영역이었다. 지금 이 시점, ‘ 크리에이티브 컨설팅’이라 명명된 우리만의 USP(Unique Selling Point)가 되어가고 있지만 초기만해도 가뜩이나 압도적 독점브랜드가 있는 시장 상황 속에 제품개발도 완결되지 않은, 유통도 가격도 결정되지 않은 실로 막막한 프로젝트였다.
HS애드 X 토스, 세상에 없던 고객 경험 위해 손잡았다.
HS애드와 토스가 고객의 브랜드 경험을 O2O(Online to Offline)로 연계하는 차별화된 사업 모델 및 서비스를 선보이기 위해 손을 잡았습니다.
2023년 하반기 광고 시장 전망 (Feat. 상반기 리뷰)
우리에게 영영사전으로 유명한 영국의 출판사 콜린스는 22년을 마무리하며 올해의 단어로 ‘Permacrisis(영구적 위기)’를 선정했다. 팬데믹, 기후변화, 우크라이나 전쟁, 인플레이션, 경기 침체 등 대격변의 시대에 불안정과 불안이 지속되는 일상을 겪고 있는 시대상이 반영된 단어이다.
무한한 가능성을 열다_ DCA 40주년
2023년 6월, 초여름의 시작과 함께 돌아온 DCA 대학생광고대상. 3개월간의 대장정 끝에 9월 7일, 시상식을 치르며 막을 내렸습니다. 팬데믹이 가로막았던 오프라인 대면 행사가 3년 만에 개최되는 한편 DCA 메타버스 공간을 제작해 공모전의 전 과정을 진행하는 등 색다른 도전이 돋보였던 이번 DCA 대학생광고대상. 또 빼놓지 못할 특별한 점이 있습니다. 바로 올해로 무려 40회를 맞이했다는 것!
브랜드 콜라보레이션, 어떻게 준비해요? | HS애드 기획자 인터뷰
편의점을 가도, 유튜브를 봐도, 팝업스토어를 가도, 요즘 마케팅엔 콜라보레이션이 필수가 아닐까 할 정도로 많은 콜라보레이션 케이스를 볼 수 있는데요. ‘와… 어떻게 이런 콜라보를 했지?’ 하고 생각했던 순간들이 있습니다.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안 어울릴 것 같았던 두 브랜드가 만나기도 하고, 대행사 종사자의 입장에서는, ‘도대체 이 프로젝트를 어떻게 진행했을까’ 하는 경이로움을 느끼기도 하니까요.
[캠페인 하이라이트] MCC 고베식당을 이야기하다
크리에이티브 컨설팅, 실행을 담보로 할 수 있을 것인가? ‘MCC 고베식당’ 프로젝트는 둘로 나뉘어진다. 바로 컨설팅과 실행이다. 그 둘이 함께 붙어 있기에 힘을 발휘한 프로젝트였고, 또한 둘로 나뉘어 있기에 어려운 프로젝트기도 했다. 2010년 4월 27일 매일유업에서 날아든 굵직한 숙제 하나. “우유하던 우리가 카레를 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하면 잘 할지… 총체적으로 해봐!” 그렇게 시작된 숙제는 제일기획으로서는 새로운 ‘제품 컨설팅’ 의 영역이었다. 지금 이 시점, ‘ 크리에이티브 컨설팅’이라 명명된 우리만의 USP(Unique Selling Point)가 되어가고 있지만 초기만해도 가뜩이나 압도적 독점브랜드가 있는 시장 상황 속에 제품개발도 완결되지 않은, 유통도 가격도 결정되지 않은 실로 막막한 프로젝트였다.
HS애드 X 토스, 세상에 없던 고객 경험 위해 손잡았다.
HS애드와 토스가 고객의 브랜드 경험을 O2O(Online to Offline)로 연계하는 차별화된 사업 모델 및 서비스를 선보이기 위해 손을 잡았습니다.
2023년 하반기 광고 시장 전망 (Feat. 상반기 리뷰)
우리에게 영영사전으로 유명한 영국의 출판사 콜린스는 22년을 마무리하며 올해의 단어로 ‘Permacrisis(영구적 위기)’를 선정했다. 팬데믹, 기후변화, 우크라이나 전쟁, 인플레이션, 경기 침체 등 대격변의 시대에 불안정과 불안이 지속되는 일상을 겪고 있는 시대상이 반영된 단어이다.
무한한 가능성을 열다_ DCA 40주년
2023년 6월, 초여름의 시작과 함께 돌아온 DCA 대학생광고대상. 3개월간의 대장정 끝에 9월 7일, 시상식을 치르며 막을 내렸습니다. 팬데믹이 가로막았던 오프라인 대면 행사가 3년 만에 개최되는 한편 DCA 메타버스 공간을 제작해 공모전의 전 과정을 진행하는 등 색다른 도전이 돋보였던 이번 DCA 대학생광고대상. 또 빼놓지 못할 특별한 점이 있습니다. 바로 올해로 무려 40회를 맞이했다는 것!
브랜드 콜라보레이션, 어떻게 준비해요? | HS애드 기획자 인터뷰
편의점을 가도, 유튜브를 봐도, 팝업스토어를 가도, 요즘 마케팅엔 콜라보레이션이 필수가 아닐까 할 정도로 많은 콜라보레이션 케이스를 볼 수 있는데요. ‘와… 어떻게 이런 콜라보를 했지?’ 하고 생각했던 순간들이 있습니다.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안 어울릴 것 같았던 두 브랜드가 만나기도 하고, 대행사 종사자의 입장에서는, ‘도대체 이 프로젝트를 어떻게 진행했을까’ 하는 경이로움을 느끼기도 하니까요.
[캠페인 하이라이트] MCC 고베식당을 이야기하다
크리에이티브 컨설팅, 실행을 담보로 할 수 있을 것인가? ‘MCC 고베식당’ 프로젝트는 둘로 나뉘어진다. 바로 컨설팅과 실행이다. 그 둘이 함께 붙어 있기에 힘을 발휘한 프로젝트였고, 또한 둘로 나뉘어 있기에 어려운 프로젝트기도 했다. 2010년 4월 27일 매일유업에서 날아든 굵직한 숙제 하나. “우유하던 우리가 카레를 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하면 잘 할지… 총체적으로 해봐!” 그렇게 시작된 숙제는 제일기획으로서는 새로운 ‘제품 컨설팅’ 의 영역이었다. 지금 이 시점, ‘ 크리에이티브 컨설팅’이라 명명된 우리만의 USP(Unique Selling Point)가 되어가고 있지만 초기만해도 가뜩이나 압도적 독점브랜드가 있는 시장 상황 속에 제품개발도 완결되지 않은, 유통도 가격도 결정되지 않은 실로 막막한 프로젝트였다.
HS애드 X 토스, 세상에 없던 고객 경험 위해 손잡았다.
HS애드와 토스가 고객의 브랜드 경험을 O2O(Online to Offline)로 연계하는 차별화된 사업 모델 및 서비스를 선보이기 위해 손을 잡았습니다.
2023년 하반기 광고 시장 전망 (Feat. 상반기 리뷰)
우리에게 영영사전으로 유명한 영국의 출판사 콜린스는 22년을 마무리하며 올해의 단어로 ‘Permacrisis(영구적 위기)’를 선정했다. 팬데믹, 기후변화, 우크라이나 전쟁, 인플레이션, 경기 침체 등 대격변의 시대에 불안정과 불안이 지속되는 일상을 겪고 있는 시대상이 반영된 단어이다.
무한한 가능성을 열다_ DCA 40주년
2023년 6월, 초여름의 시작과 함께 돌아온 DCA 대학생광고대상. 3개월간의 대장정 끝에 9월 7일, 시상식을 치르며 막을 내렸습니다. 팬데믹이 가로막았던 오프라인 대면 행사가 3년 만에 개최되는 한편 DCA 메타버스 공간을 제작해 공모전의 전 과정을 진행하는 등 색다른 도전이 돋보였던 이번 DCA 대학생광고대상. 또 빼놓지 못할 특별한 점이 있습니다. 바로 올해로 무려 40회를 맞이했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