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umer Insight 1] Next Media로 주목받고 있는 디지털 콘텐츠
광고계동향 기사입력 2015.04.15 12:00 조회 9288
글 ┃ 박태진 CJ E&M 미디어솔루션본부 인사이트랩 팀장
 

오늘날 청소년 세대들은 ‘신세대, N세대’라 불리는 기성세대와는 확연히 다르다. 이들은 태어날 때부터 이미 인터넷이 있었고, 휴대폰을 사용하며 자랐다. 쉽고 빠른 스마트기기, 그 안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플랫폼을 매일 경험한 Digital Native로는 그 태생부터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은 디지털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정보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뿐만 아니라, 자신이 직접 디지털 세상을 만들기도 한다.

다양한 디지털 기기를 통해 스스로 콘텐츠를 생산하고(Creation), 이를 선별하여 재구성한 후(Curation),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으로 공유하고(Connection), 이것을 공동체와 소통하는(Community) ‘C세대’라는 영향력 있는 집단이 탄생했다. C세대는 단순히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분류되는 집단이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집단이 아닌 행동 지향적 특징으로 분류된다. 마케터에게 이들이 중요한 이유는 C세대가 젊고 영향력 있는 일부 집단이 아닌 소비 시장에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대규모 집단이라는 점이다. 닐슨그룹은 C세대가 미국 시장에서만 연간 5천 억 달러(약 558조 원) 규모의 지출 영향력을 지닐 수 있는 집단이라고 분석했고, 이는 영향력 있는 노동인구의 75%에 해당되는 수치다. 능동적으로 콘텐츠를 창조하고, 재구성하며, 참여하고, 공유하는 매력적인 소비자를 잡기 위해 글로벌 상위 100개 브랜드는 한 달 평균 78개 콘텐츠를 유튜브를 통해 확산하고 있다.
 

 
이러한 C세대는 콘텐츠의 제작 환경과 광고주의 마케팅에도 많은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디지털 환경에서의 콘텐츠는 전통적 콘텐츠 제작방식인 RMC(Ready Made Contents)뿐 아니라 다양한 제작 형태와 유형의 콘텐츠로 확장되고 있다. 유튜브 기반의 UGC 콘텐츠에서 ‘짤방’이라 불리는 GIF, TV형 프리미엄 콘텐츠까지 그 영역이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콘텐츠는 디지털 환경에서 자발적으로 생산·확산되는 새로운 ‘공유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콘텐츠 소비 또한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콘텐츠 시장의 변화

전 세계 1위 유튜버인 ‘PewDiepie’는 연간 수입 850만 달러(약 93억 원)로 3.4천 만 구독자와 누적 조회수 80억 뷰를 달성, 백만장자 대열에 들어섰으며, No.1 뷰티 유튜버인 ‘Michelle Phan’은 본인의 브랜드를 론칭하여 글로벌 뷰티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1인 창작자들은 디지털 환경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C세대 타깃을 기반으로 새로운 디지털 비즈니스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에 전통적 미디어 사업자들은 C세대 소비자의 확보와 디지털 콘텐츠의 제작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MCN 사업자에 대한 투자 및 인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그 중에서도 2014년 3월 디즈니사는 메이커 스튜디오를 9억 5천만 달러에 인수(약 1조 원), 약 6만 개 이상의 유튜브 채널과 총 구독자 3억 8천만 명을 보유하며 Next Media로서의 기틀을 마련하고 있다.

디지털 콘텐츠에 열광하는 C세대

그렇다면 C세대는 디지털 콘텐츠에 왜 열광하는 것일까? DEFY Media의 Acumen Report에 따르면, 13~24세는 제품 구매 영향력자로 TV·Movie 스타보다 유튜버가 더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유튜버는 나와 비슷한 생각을 하고, 나를 이해하며 조언해준다고 인식함으로써 TV·Movie 스타보다 Social Media 팔로잉도 많고, 제품 구입 시에도 영향력이 높다고 밝혔다<그래프1>.

국내 디지털 콘텐츠 시청자 또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메이크업 뷰티 튜토리얼 프로그램인 ‘포니의 뷰티다이어리’의 경우도 시청자 대상의 설문조사 결과, 96%는 제품 정보를 알려주는 것이 좋았고, 83%는 해당 제품을 구매하고 싶다고 응답했다. ‘포니’라는 스타급 크리에이터와 탄탄한 내용 구성이 많은 유저들을 열광하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그래프2>.
 

 

 
최고의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하는 디지털스튜디오


디지털에서의 콘텐츠는 단순히 영상을 만들어서 디지털 매체에 유통만 해서는 안 된다. 디지털 콘텐츠를 마케팅하는 데에는 디지털에 대한 지식보다 디지털 콘텐츠를 생산하고 소비하며 확산하는 디지털 생태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이러한 생태계 안에서 콘텐츠와 유통, 마케팅은 하나의 전략으로 움직여야 한다. 방송, 영화, 음악, 공연, 게임 등 다양한 콘텐츠와 서비스로 문화 트렌드를 이끌어온 CJ E&M은 패션, 뷰티, 푸드, 육아 등 다양한 카테고리의 프리미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콘텐츠 제작팀을 만들었다. 또한 스타일리스트, 셰프, 의사 등 다양한 전문가 집단과 아이돌, 모델 등의 다양한 셀럽 그리고 개인 방송을 통해 주가를 올리고 있는 크리에이터 그룹 등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를 더욱더 풍성하게 완성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는 디지털환경에서의 새로운 광고로써 주목을 받고 있으며 효율적인 매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크리에이터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제작된 브랜드 콘텐츠는 팬들을 통해 소비되어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게 되고 크리에이터와 팬들의 SNS를 통해 자연 확산되어 재생산된다. 콘텐츠와 마케팅이 하나의 전략으로 움직이는 디지털 콘텐츠에 주목할 만한 이유다.

디지털 ·  콘텐츠 ·  신세대 ·  c세대 ·  유튜브 ·  마케팅 · 
이 기사에 대한 의견 ( 총 0개 )
[광고로 읽는 심리학] 광고음악이 소비자를 움직인다
때론 친근한 리듬으로 소비자의 귀를 중독시키고, 때론 진한 감성으로 소비자의 의심과 불안을 무장해제하는 광고음악. 사람의 심리를 자유자재로 변화시키는 데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는 음악은 언제나 광고의 든든한 구원 투수다.
롯데웰푸드_언제나 맛있게 제로하다
지난해 5월 롯데웰푸드가 첫 슈가프리 브랜드 ‘제로’를 세상에 선보였습니다. 이에 발맞춰 대홍기획은 <마침내 제로가 맛있어지다〉라는 메시지를 담은 런칭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이를 통해 ZERO는 트렌디한 이미지와 더불어 맛에 대해서도 긍정적 평가를 받으며 성공적으로 시장에 자리 잡았습니다.
고객 경험으로 연결되는 PPL
벚꽃이 하나 둘 피기 시작하던 봄의 초입, 여의도 한강공원에서 작은 사생대회가 열렸다. 주제는 '한우불고기버거', 미션은 ‘포장 디자인으로 쓰일 그림 그리기'. 벚꽃 향 대신 자본주의의 향기가 만연했던 이 사생대회에 영광스럽게도 침펄 작가가 참가해줬다.
차보다 사람이 먼저! - 동부화재 프로미 TV-CM
<광고주 : 동부화재, 광고회사 : 대홍기획> 차보다 사람이 먼저!  이거 동부화재 광고 맞아? 기존 광고 틀 깬 새로운 시도로 훈훈한 인간애를 전달하며 브랜드가치 극대화한 동부화재 프로미 TV-CM 삼성화재 애니카, 동부화재 프로미, 현대해상 매직카, LG화재 하이카로 대표되는 자동차보험의 브랜드 전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광고전 또한 치열해지고 있다.일반적인 보험사 광고들이 언제 어디든지 자사 상품을 이용하는 고객이
롯데손해보험 광고 촬영 현장 - 나를 웃게 하는 힘!
내 인생이 난관에 부딪쳤을 때 누가 가장 힘이 되어줄까? 가족이나 친구 등을 제외하면 믿을 수 있는 건 역시 보험뿐이다. 너나 할 것 없이 어려운 불황의 시기, 우리는 롯데손해보험이 대한민국을 직접 응원하는 캠페인을 기획했다.
아이디어 넘치는 청춘들의 합집합! 16명의 신입 광고인을 만나다
'초심을 잃지 말라'는 말이 있습니다. 어떤 일을 처음 시작할 때의 마음가짐을 끝까지 가져가라는 격언인데요. 그만큼 초심이 성공을 좌우하는 중요한 열쇠라는 의미를 담고 있죠. 오늘 HS애드 블로그에서는 광고라는 필드에 처음 발을 내딛는 신입사원의 '초심'을 들어보려고 합니다. 여러분의 마음을 톡톡 튀는 크리에이티브로 터치할 신입 광고인들의 이야기를 지금 만나보시죠
[Interview1] 광고회사에서 햄버거를 판다고? 오래와새·폴트버거
도산공원 근처에 ‘폴트(FAULT)버거’라는 핫한 햄버거집이 생겼는데 광고회사에서 하는 거래! 소문을 듣고 궁금해졌다. 광고회사가 왜 햄버거 가게를 냈을까? 오래와새 윤성호 대표를 만나기까지는 생각보다 어려웠다.
[Special Issue] 급팽창하는 O2O 시장에 대한 이해와 우리의 대응 전략
정현욱 beSUCCESS 대표 - 한양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 2004~2012 KT (인사/노사/홍보 업무) 담당 - 2012~현재 스타트업 전문 미디어 ‘비석세스(beSUCCESS)’ 대표   급팽창하는 O2O 시장에 대한 이해와 우리의 대응 전략   2015년부터 ‘O2O’라는 단어가 한국 IT 업계에서 화두로 떠올랐다. ‘Online to Offline’의 약자인
[Close up] 2022년 국내 광고 시장 9.3% 성장한 15조 2,842억 원 전망
 2022년 국내 광고 시장 9.3% 성장한 15조 2,842억 원 전망 제일기획, 국내 총 광고비 결산 및 전망 발표 자료제공 제일기획  
[Consumer Insight] 가성비, 가심비, 갓성비 ‘Value for Money’ 소비
좀 이른 여름휴가를 갔다 왔다. 해외로 나갈 수 없는 상황, 선택은 제주도 였다. 휴가를 준비하면서, 또 휴가지에서는 광고라는 업에서 벗어나 일반적인 소비자가 되어 온갖 구매의사결정을 하게 됐다.
아이디어 넘치는 청춘들의 합집합! 16명의 신입 광고인을 만나다
'초심을 잃지 말라'는 말이 있습니다. 어떤 일을 처음 시작할 때의 마음가짐을 끝까지 가져가라는 격언인데요. 그만큼 초심이 성공을 좌우하는 중요한 열쇠라는 의미를 담고 있죠. 오늘 HS애드 블로그에서는 광고라는 필드에 처음 발을 내딛는 신입사원의 '초심'을 들어보려고 합니다. 여러분의 마음을 톡톡 튀는 크리에이티브로 터치할 신입 광고인들의 이야기를 지금 만나보시죠
[Interview1] 광고회사에서 햄버거를 판다고? 오래와새·폴트버거
도산공원 근처에 ‘폴트(FAULT)버거’라는 핫한 햄버거집이 생겼는데 광고회사에서 하는 거래! 소문을 듣고 궁금해졌다. 광고회사가 왜 햄버거 가게를 냈을까? 오래와새 윤성호 대표를 만나기까지는 생각보다 어려웠다.
[Special Issue] 급팽창하는 O2O 시장에 대한 이해와 우리의 대응 전략
정현욱 beSUCCESS 대표 - 한양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 2004~2012 KT (인사/노사/홍보 업무) 담당 - 2012~현재 스타트업 전문 미디어 ‘비석세스(beSUCCESS)’ 대표   급팽창하는 O2O 시장에 대한 이해와 우리의 대응 전략   2015년부터 ‘O2O’라는 단어가 한국 IT 업계에서 화두로 떠올랐다. ‘Online to Offline’의 약자인
[Close up] 2022년 국내 광고 시장 9.3% 성장한 15조 2,842억 원 전망
 2022년 국내 광고 시장 9.3% 성장한 15조 2,842억 원 전망 제일기획, 국내 총 광고비 결산 및 전망 발표 자료제공 제일기획  
[Consumer Insight] 가성비, 가심비, 갓성비 ‘Value for Money’ 소비
좀 이른 여름휴가를 갔다 왔다. 해외로 나갈 수 없는 상황, 선택은 제주도 였다. 휴가를 준비하면서, 또 휴가지에서는 광고라는 업에서 벗어나 일반적인 소비자가 되어 온갖 구매의사결정을 하게 됐다.
아이디어 넘치는 청춘들의 합집합! 16명의 신입 광고인을 만나다
'초심을 잃지 말라'는 말이 있습니다. 어떤 일을 처음 시작할 때의 마음가짐을 끝까지 가져가라는 격언인데요. 그만큼 초심이 성공을 좌우하는 중요한 열쇠라는 의미를 담고 있죠. 오늘 HS애드 블로그에서는 광고라는 필드에 처음 발을 내딛는 신입사원의 '초심'을 들어보려고 합니다. 여러분의 마음을 톡톡 튀는 크리에이티브로 터치할 신입 광고인들의 이야기를 지금 만나보시죠
[Interview1] 광고회사에서 햄버거를 판다고? 오래와새·폴트버거
도산공원 근처에 ‘폴트(FAULT)버거’라는 핫한 햄버거집이 생겼는데 광고회사에서 하는 거래! 소문을 듣고 궁금해졌다. 광고회사가 왜 햄버거 가게를 냈을까? 오래와새 윤성호 대표를 만나기까지는 생각보다 어려웠다.
[Special Issue] 급팽창하는 O2O 시장에 대한 이해와 우리의 대응 전략
정현욱 beSUCCESS 대표 - 한양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 2004~2012 KT (인사/노사/홍보 업무) 담당 - 2012~현재 스타트업 전문 미디어 ‘비석세스(beSUCCESS)’ 대표   급팽창하는 O2O 시장에 대한 이해와 우리의 대응 전략   2015년부터 ‘O2O’라는 단어가 한국 IT 업계에서 화두로 떠올랐다. ‘Online to Offline’의 약자인
[Close up] 2022년 국내 광고 시장 9.3% 성장한 15조 2,842억 원 전망
 2022년 국내 광고 시장 9.3% 성장한 15조 2,842억 원 전망 제일기획, 국내 총 광고비 결산 및 전망 발표 자료제공 제일기획  
[Consumer Insight] 가성비, 가심비, 갓성비 ‘Value for Money’ 소비
좀 이른 여름휴가를 갔다 왔다. 해외로 나갈 수 없는 상황, 선택은 제주도 였다. 휴가를 준비하면서, 또 휴가지에서는 광고라는 업에서 벗어나 일반적인 소비자가 되어 온갖 구매의사결정을 하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