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지 레이블이 루머 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메시지 신뢰성과 이슈 가상성의 조절된 매개 효과 모델
한국PR학회 | 한국PR학회 | 23 pages| 2020.02.19| 파일형태 :
조회 1394 다운로드 0
자료요약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위험 커뮤니케이션 맥락에서 진위가 불확실한 루머 정보가 뉴스 혹은 소문이라고 명명될 때 메시 지 공유 의도가 달라지며, 메시지의 신뢰성이 이러한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해석수준 이론 에 기반해 심리적 거리의 하나인 ‘가상성’이 메시지 신뢰성의 매개 효과를 조절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전국 단위의 온라인 패널 중 트위터 계정을 가지고 있는 19∼49세의 성인 178명을 대상으로 단일 요인 집 단 간 설계(메시지 레이블: 뉴스 vs. 소문) 온라인 유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 자극물은 트윗 메시지의 형 태로 제시하였다. 메시지 신뢰도, 공유 의도 및 지카 바이러스 위험에 관한 가상성 인식은 설문 조사하였다. 결과 지카 바이러스에 대한 가상성은 메시지 레이블과 공유 의도의 관계에 대한 메시지 신뢰성의 매개 효과를 조 절했다. 구체적으로 가상성이 낮은 경우에는 소문보다는 뉴스로 명명된 정보를 더 신뢰함으로써 뉴스로 명 명된 정보의 공유 의도가 높았다. 반면, 가상성이 높은 경우에는 뉴스보다는 소문이라고 명명된 정보를 더 신뢰함으로써 소문으로 명명된 정보의 공유 의도가 높았다. 논의 및 결론 루머의 ‘불확실성’ 속성에 따른 메시지의 특성 및 메시지 수용자의 심리적 거리, 특히 ‘가상성’의 특성을 결합 한 본 연구는 가상성 인식에 따라 공중을 세분화해 루머 통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 mediating role of message believ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ssage label (news vs. rumor) and the intention to share the message in the context of risk communication. In addition, based on the construal level theory, this study explored the moderation of the effect of the message label on the intentional to share the message with others by hypotheticality. Methods A one factor between group design (message label: news vs. rumor) onlin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178 adults aged from 19 to 49 years old, who have a Twitter account from a national online panel. Experimental stimuli were presented in the form of tweet message regarding Zika virus. Participants answered survey questions about their hypotheticality on Zika virus problems, message believability and intention to share the message with other people. Results Hypotheticality moderated the mediating role of message believ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ssage label and the intention to share the message. Among those relatively high in hypotheticality, a label of rumor, opposed to a label of news, increased the intention to share the message by increasing the message believability. In contrast, among those relatively low in hypotheticality, a label of news, opposed to a label of rumor, increased the intention to share the message by increasing the message believability. Conclusions This study, which combines the characteristic of rumor messages of which validity is uncertain and the level of hypotheticality as a characteristic of rumor recipients, will help to develop rumor control communication strategies.
목차
서론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루머 공유 과정에서 메시지 레이블 및 메시지 신뢰도의 영향
메시지 신뢰도 및 공유 의도에 대한 조절 변수로서의 가상성
연구 모델
연구 방법
연구 대상과 자료 수집
실험 절차
실험 자극물
측정 도구
연구 결과
결론
한국PR학회 루머 정보 메시지 레이블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PR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