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시대의 온라인 공중 집단행동에 대한 집단 효능감의 역할 : 청와대 국민청원 사이트 참여를 중심으로
한국PR학회 | 한국PR학회 | 30 pages| 2019.07.03| 파일형태 :
조회 1235 다운로드 0
자료요약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새로운 형태의 온라인 미디어 특성이 온라인 공중의 집단 효능감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분석하고, 나아가 집단 효능감이 개인의 집단행동 참여 의도를 어떻게 높일 수 있는지 파악하길 시도한다.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개인의 집단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집단 정체성의 구성, 집단 효능감의 형성, 그리고참여 효능감의 역할을 설명하고 각각의 논리적인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20대 이상 인구 중 ‘청와대 국민청원 및 제안’ 사이트를 알고 있는 샘플을 연구 대상으로, ‘소년법적용 연령 인하 청원’과 관련한 실증적 연구를 진행했다. <결과> 연구 결과, 개인의 이슈에 대한 문제 인식과 제약 인식이 집단 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개인이 온라인 공동체로서 느끼는 집단 정체성이 온라인 집단에 대한 집단 효능감에 유효한 영향력을 보임을 밝혀냈다. 마지막으로 참여 효능감이 집단 효능감과 참여 의도 사이에 부분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을확인했다. <논의 및 결론>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학문적으로 기존 집단 효능감 연구의 한계와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실무적으로 온라인을 통한 사회 변화 운동이나 캠페인 참여를 유도하는 데 실증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how computer-based communication affects the formation of the individual’s collective efficacy, and to identify how collective efficacy increases the individual’s participation intention, in an online group. For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the ‘Blue House online petition’ participants. As a result, this study reached three theoretical conclusions. First, personal problem cognition, social problem cognition, and constraint cognition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social identity of the online public. Second, social identity of the online public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ollective efficacy. Third, participative efficacy has moderate effect on collective efficacy and the individual’s participation inten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formation and application, of collective efficacy. Furthermore, this study can offer practical help for PR campaigners to design online campaigns and social change movements.
목차
국문요약
서론
이론적 배경
집단 효능감
온라인 공중과 집단 정체성
집단 정체성과 집단 효능감
참여 효능감
연구 방법
조사 방법 및 자료 수집
설문의 구성
조작적 정의 및 측정
자료 분석 방법
연구 결과
참가자 특성
주요 변인의 측정
측정 모형의 타당성 평가
연구가설의 검증
결론 및 논의
한국PR학회 청와대 국민청원사이트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PR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