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에서의 정보 공유, 탐색 및 순응에 대한 ‘루머’ 레이블의 영향 : 정보 유인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PR학회 | 한국PR학회 | 22 pages| 2018.09.10| 파일형태 :
조회 2827 다운로드 0
자료요약
1. 한글요약 
2. 서론 
3. 문헌 연구 및 가설 
3-1. 정보 레이블: 뉴스 대 루머 
3-2. 정보 유인가: 긍정 정보 vs. 부정 정보 
3-3. 정보 레이블과 정보 유인가의 상호작용 
4. 연구 방법 
4-1. 실험 설계 및 참가자 
4-2. 실험 절차 
4-3. 실험 자극물 
4-4. 측정 도구 
5. 연구 결과 
6. 논의 및 결론 
 
목차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루머로 레이블된 정보, 뉴스로 레이블된 정보와 어떤 레이블도 달지 않은 일반 정보의 공유 의도, 탐색 의도 및 순응 의도를 비교함으로써 루머 레이블의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정보의 유인가에 따 라 정보 레이블의 효과가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3(정보 레이블: 뉴스 vs. 루머 vs. 일반 정보) × 2(정보 유인가: 긍정 vs. 부정) 요인 설계에 의한 온 라인 실험으로, 660명의 온라인 조사 패널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자극물은 독감 예방 주사의 효과에 대한 내용을 트윗 메시지 형태로 제작하였다. 결과 첫째, 공유 의도, 탐색 의도 및 순응 의도 모두에 대해 정보 레이블의 주효과가 관찰되었다. 뉴스라고 명명된 정보는 루머나 레이블이 없는 일반 정보에 비해 공유 의도, 정보 탐색 의도 및 순응 의도가 모두 높았다. 둘 째, 정보 유인가는 공유 의도에 대해서만 주효과가 있었으며 부정 정보에 비해 긍정 정보에 대한 공유 의도 가 높았다. 셋째, 정보 레이블과 정보 유인가의 상호작용이 관찰되었다. 공유 의도, 정보 탐색 의도 및 순응 의도에 미치는 정보 레이블의 영향이 긍정적 정보에 비해 부정적 정보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검증되지 않은 정보인 루머조차도 뉴스라는 이름으로 전파되기도 하는 오늘날의 미디어 환경에서 루머에 대응해야 하는 커뮤니케이션 실무자에게 함의를 제공하며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해 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if intentions to seek and share information, and intention to comply with the message differ by the label and the valence of posted information. Methods A 3(information label: news vs. rumor vs. no label) x 2(information valence: positive vs. negative) factorial design was applied to an online quasi-experiment with an artificial tweet message about the effect of flu vaccination. Data from 660 participants were analyzed. Results First, there was a main effect of information label on behavioral intentions to share and seek information as well as to receive the vaccination. Participants showed greater intentions if the information was labeled as news as opposed to rumor or non-labeled. Second, the valence of information affected participants’ intention to share information. Their intention was greater when the tweet conveyed positive information as opposed to negative information. Third, there was an interaction between the label and the valence of information. The effects of information label were greater when the information was negative.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 to communication practitioners and raises the needs to educate media literacy. 
 
뉴스 루머 정보 레이블 정보 유인가 트윗 메시지 news rumor information label information valence twitter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PR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