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조미디어] MEDIA & MARKET REPORT 2019.11
- 297호 [OOH Report] Subway AD&Issue Brief
- 296호 [Case Study ] Z세대 공략 광고 성공 사례 - 정관장/GS25
- 297호 [Global Trend] 글로벌 오디언스 데이터 활용 및 인식
- Target Audience 분석리포트 3049 기혼여성
- [메조미디어]2019년 업종보고서 화장품
- [메조미디어] 2019 OTT 서비스 트렌드 리포트
- [메조미디어] MEDIA & MARKET REPORT 2019.09
- 296호 [OOH Issue] 알아두면 아주 유용한 주요 OOH 소식
- 코카콜라 2013 Digital/Mobile 캠페인
광고 정보처리 과정에 관한 연구
자료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이 광고에 노출된 이후 어떠한 심리학적 과정을 통하여 최종적인 구매행위에 도달하는가를 살펴보는데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첫째, 개인의 상품에 대한 관여도와 친숙도(전문지식) 수준이 변화함에 따라 광고 정보처리 과정에서 브랜드 신념으로부터 브랜드 태도로 연결되는 인지적 경로의 역할과 광고 태도로부터 브랜드 태도로 연결되는 감정적 경로의 역할이 어떻게 변화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 사이에 설정된 인과관계는 개인의 상품 관여도와 상품 친숙도의 변화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개인이 친숙한 브랜드에 노출되었을 경우 친속한 브랜드 조건의 광고반응 변인들 이외에 개인의 기억으로부터 도출되는 사린 브랜드 태포가 장고 정보처리 과정에 추가됨으로써 광고 정보처리 과정의 구조적 관계에는 어떠한 변화가 발생하는지 조사하고자 한다.
광고 정보처리 이론
광고 발생 감정
상품 친숙도
정교화 가능성 모델
광고 상품 범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