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목 저자 출처 학회/발행처
초저가 화장품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2006.12.01
기타 | (숙명여자대학교)
최근 이슈가 되었던 초저가 화장품 산업이 2003년 '미샤' 를 시작으로 단독 브랜드 숍이 생기기 시작하면서 화장품 유통의 한 축으로 자리를 잡아가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초저가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러기 위해 먼저 초저가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품질과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러한 소비자의 지각된 품질과 지각된 가치가 재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로 소비자가 초저가 화장품에 대해 많은 지식과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 지각적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초저가 화장품을 이용하는 소비자가 할인이나 저렴한 제품을 선호하는 가격지향성이 강한 경우, 저가 화장품의 품질에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초저가 화장품의 점포이미지는 지각적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명브랜드 화장품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2007.01.01
광고와 마케팅 | (숙명여자대학교)
본 연구는 여성들의 유명브랜드 화장품에 대한 브랜드 선호도와 구매행동을 알아봄으로써 제품개발 및 마케팅 활동 계획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여성을 대상으로 무작위추출을 하였으며, 설문조사는 본 연구의 취지를 설명한 후에 자기평가 기입 법을 통해 실시하였다. 추출된 연구대상은 20대 이하 116명, 30대 164명, 40대 83명, 50대 25명으로 총 388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1.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여성들의 유명브랜드 화장품 선호도와 화장품 구매 행위, 그리고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X2(Chi-square) 검증과 빈도분석, t-test(검증), 그리고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웰빙 라이프스타일과 스포츠 웨어 추구혜택의 관계 연구 | 2007.06.01
기타 | (숙명여자대학교)
지금 우리나라 소비트렌드를 한마디로 표현하면 `웰빙`이다. 건강한 몸과 마음을 중요시하는 심신 안정과 수양을 추구하는 웰빙이 새로운 트렌드의 핵심으로 자리 잡고 있다. 대증적인 소비코드로 등장한 웰빙은 물질적인 가치보다는 정신적인 만족을 우선시하는 현대인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여 지고 있다. 이러한 급속한 트렌드 확산 속에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스포츠웨어 시장 상황을 정확히 판단하고 단계적인 계획을 세워 밀려들어오는 유명 외국상표 스포츠 웨어 시장과는 차별화 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웰빙에 따른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를 분석하고 소비자 유형을 세분화 하여 세분집단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스포츠 웨어 구매행동, 스포츠 웨어 구매선택기준, 스포츠 참여도 및 관심도를 비교 분석하고, 스포츠 웨어 구매 시 추구하는 혜택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이론적 연구는 웰빙 라이프스타일,스포츠 웨어, 추구혜택에 관하여 이론적 고찰과 함께 그에 따른 선행연구를 살펴보았고, 실증적 연구는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시각문화교육을 통한 미술교육 연구 | 2006.12.01
기타 | (숙명여자대학교)
인간의 모든 활동은 자신이 속한 사회의 문화적 특성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교육은 이러한 사회의 문화적 변화를 교육적 자원으로 활용한다. 특히 21세기 현대 사회는 이전과는 전혀 다른 사회, 문화적 토양을 가지고 있으며, 그 변화의 속도 또한 과거와는 비교도 되지 않을 만큼 하루가 다르게 빨라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 어느 때보다 교육의 사회, 문화적 맥락성은 중요하다. 현대사회는 산업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새로운 매체가 생성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시각 이미지 중심의 대중문화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를 대변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의 미술교육은 이러한 학습자의 문화적 기반이나 사회의 변화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이에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 원인을 미술교육의 탈맥락적이고 형식적인 성격에 있다고 보고, 미술교육이 기존의 한정된 틀을 깨고 사회 ·문화의 맥락적 입장에서 시각문화교육이라는 보다 큰 범주 안에서 논의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시각문화교육의 필요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시각문화의 개념과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시각 미디어 매체를 통한 미술교육 | 2007.06.01
기타 | (숙명여자대학교)
오늘날 시각문화는 시각적 미디어에 의한 문화적 현상이 대표적인 양상이라 할 수 있다. 우리는 오늘날 다양한 문화적 양상 중에서 텔레비전이나 인터넷과 같은 시각적 대중매체의 급속한 발달과 보급에 의해 시각미디어를 일상생활에서 거의 매일 끊임없이 접하고 받아들이고 있으며,이러한 현상은 앞으로도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특히 최근에는 컴퓨터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등장한 새로운 시각적 문화양상인 디지털에 의한 이미지 창출이 기존에 존재해 온 아날로그 영상의 생산방식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각 문화적 환경 속에서 학교교육은 아직도 주로 고급문화와 고급미술 중심의 미학적 접근에 의해 이루어 지고 있다 광고, 영화, 만화, 텔레비전 영상이나 컴퓨터 영상과 같은 생활 속의 대중적인 시각문화에 대한 교육내용은 현 중 · 고등학교 내용에 거의 반영되어있지 않는 실정이다. 이에 미술교육을 시각문화교육이라는 좀 더 넓은 범주 안에서 바라보고 디지털 영상수업이라는 새로운 미술교육 방안을 마련 해보고자 하였다.
빛을 통해 형성된 그림자의 이미지 표현 연구 | 2006.12.01
기타 | (숙명여자대학교)
인류 태초에 빛이 있었다.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어둠 속에서 빛은 이미지를 만든다. 빛은 다양한 의미와 형태들로 우리의 삶 속에 존재하며 오늘날까지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불어넣고 있다. 빛이 있는 곳에 빛의 또 다른 형태인 그림자도 존재한다. 그림자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도 시대를 지나오면서 바뀌었다. 빛과 빛을 통해 형성된 이미지, 곧 그림자에 대한 접근 형태는 개인의 연구와 관찰, 그 영역에 따라 달라지는데 수학자는 과학적으로 접근할 것이고 심리현상에 관심이 있는 학자는 심리적으로 접근해 나가겠지만 예술가들은 삶 속에서 얻어지는 교감 등을 통해 신이 빛을 만든 것처럼 예술을 창조해 나간다. 오늘날에는 동서양 할 것 없이 회화에서 빛과 그림자가 조형요소로 표현되고 있지만 동양과 서양의 전통 회화에서는 빛 표현에 있어서 차이를 드러낸다. 동양의 전통 회화에서는 그림자를 찾기 힘들며 빛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기보다는 간접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서양의 전통 회화는 빛과 그림자를 탐구하여 직접적으로 표현하고자 했으며 그림자를 회화표현의 매체로서 사용하고 있다. 렘브란트(Harmenszoon van Rijn Rembrandt, 1606-1669)는 인간심리표현의 매체로서 빛을 창조하였고 모네(Claude Monet, 1840~1926)는 자연의 순수한 빛을 보이는 그대로 표현하려고 하였다.
메이크업 重要度와 滿足度 性向이 化粧品 消費行動에 미치는 影響 | 2007.06.01
기타 | (숙명여자대학교)
본 연구는 삶의 질적 추구와 더불어 새로움과 합리적이고 다양한 가치소비를 즐기는 화장품의 새로운 소비주체인 20-30대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우선 이러한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화장품 구매행동,구매경로,브랜드선택 기준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메이크업 소비행동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메이크업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가 화장품의 구매형태, 구매 빈도와 상하위 제품군선택의 차이를 포함한 다양한 메이크업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기초화장품과 색조화장품을 나누어 연구하였다. 구매와 관련 소비자 의사결정과 정보처리과정에 있어 중요도와 만족도의 기준은 개인의 가치, 태도, 관여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이러한 가치와 태도, 관여수준을 결정짓는 중요도와 만족도라는 인간의 기초적인 성향을 보편 타당하게 수량화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나아가 그러한 개인의 화장품 소비관련 차원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또 다른 심리적인 변수를 규명하는 것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20-30대 여성들의 화장품 소비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학적 특성과 소비자행동을 검토함으로써 여성 소비자들을 이해하고, 나아가 국내 화장품소비의 주체인 이러한 여성들을 대상으로 향후에 추진할 수 있는 새로운 마케팅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기업의 판매촉진 활동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 화장품산업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이 연구가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그 목적을 두었다.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뉴스유형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2007.06.01
광고와 마케팅 | (숙명여자대학교)
기업환경은 끊임없이, 그리고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기업은 이러한 환경변화에 빠르게 적응하여야 지속가능한 경영이 이루어지며 기업은 사회와 함께 성장하고 생존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한 기업환경, 생존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요건 증 하나로 사회적 책임이 더욱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와 함께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점점 증가 하고 다양화 되면서 CEO나 직원의 참여도 두드러진다 자연스레 최근 사회공헌활동 관련 뉴스에서 사회공헌활동을 하고 있는 CEO나 직원의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그러나 한국사회가 가지고 있는 반기업 정서와 기업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 등과 같은 한국적 상황(context)에서 자선적 활동인 사회공헌활동이 뉴스를 통해 노출 될 때 CEO나 직원의 비주얼 등장이 공중에게 보여주기 식으로 내비친다면 오히려 기업의 활발한 사회공헌활동 전개에도 불구하고 역효과를 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관한 뉴스유형 중 텍스트로만 이루어진 유형과 CEO, 직원사진과 같은 비주얼이 결합된 유형에 따라 공중이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또한 중소기업보다도 대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한 상황에서 기업의 규모에 따라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 뉴스유형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나타나는가를 알아 보았다.
국내 화장품 캐릭터에 의한 브랜드 이미지(Brand Image) 연구 | 2006.12.01
기타 | (숙명여자대학교)
현대 산업은 정보 통신의 발달과 디지털 혁명으로 인해 기업의 경영환경이 급속히 달라지고 있다. 변화의 속도도 하루가 다르게 발라지고 있으며 변화의 폭 또한 넓어지고 있다. 기업 간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기 위하여 자사의 제품을 타사의 제품과 차별화·특성화하여 소비자들에게 어떤 신뢰감을 주는지에 따라 기업의 승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기업들은 타사와 특화된 구별을 위해 브랜드(Brand)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제 브랜드는 기업 경영의 가장 핵심적인 전략으로 대두 되었다. 이런 개념상의 브랜드를 시각적으로 가시화 시켜주는 요소 중의 하나인 캐릭터는 브랜드 이미지(Brand image)를 구축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비주얼 메시지(Visual message)이다. 소비자는 자아와 일치되는 이미지를 갖는 브랜드를 선호한다. 소비자가 한 브랜드에 대해 높은 호감과 충성도를 가지고 있다면 그것은 브랜드의 자산형성으로 이어져 기업의 막대한 이윤을 가져다준다. 따라서 기업은 소비자가 호감을 가지고 있는 브랜드에 대해 일관된 브랜드 전략과 차별화 된 디자인을 전개하여 브랜드의 가치(Value)를 높여야 한다.
국내 중앙행정기관 웹사이트의 접근성과 사용성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 2007.06.01
기타 | (숙명여자대학교)
21세기 지식기반사회(knowledge based society)에서 웹은 지식획득을 통한 부를 창출하고 미래를 이끄는 큰 원동력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그러나 지식과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웹 사용이 일상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장애인 및 고령층들은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을 준수하지 않고 제공되는 웹 서비스로 인하여 누구나 평등하게 누려야만 하는 정보화의 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중앙행정기관의 웹 접근성 준수실태를 파악하고, 이용자 웹 사용성 평가를 통하여 접근성과 사용성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며 문제점 및 개선 방안과 CSS(cascading style sheets)를 이용한 실증적 사례 제안을 통하여 국내 중앙행정기관 웹사이트의 접근성 수준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국내 중앙 행정기관 웹사이트의 접근성 준수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연구와 둘째, 이용자 웹 사용성 평가를 통하여 웹 접근성을 잘 준수한 사이트가 이용자들에게 웹 사용성을 높여 주는지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1차 평가와 2차 평가로 진행하였다. 1차 평가에서는 국내 59개 중앙행정기관에 대하여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KWCAG) 1.0`의 13개 지침에 따른 61개의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였고, KADO-WAH 2.0과 Bobby 5.3 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자동정가를 실시하였다.
자료 제공처